ADVERTISEMENT

대만·한국 의존 줄이자…미·일, 2나노 반도체 공동개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국과 일본이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위해 손을 맞잡는다. 대만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공급 구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다. 올해 안에 일본에 연구 개발 시설을 짓고 시범 제조라인을 설치할 계획이다. 목표는 2025년 2㎚(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반도체 양산이다. 이 분야 세계 최고인 대만 위탁생산(파운드리)업체 TSMC의 목표와 같다.

미국과 일본의 외교장관과 경제장관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미 워싱턴DC에서 ‘경제판 2+2’로 불리는 미·일 경제정책협의위원회(EPCC)를 열었다. 미국의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지나 러먼도 상무장관, 일본의 하야시 요시마사(林芳正) 일본 외무상과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경제산업상은 이날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4명의 장관은 양국이 양자컴퓨터나 인공지능(AI)에 필요한 차세대 반도체 개발을 위해 공동 연구센터를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성명에선 구체적 계획이 공개되진 않았다. 하지만 31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연구센터는 올해 일본에 지어질 예정이다. 일본 최고 국책연구기관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나 이화학연구소, 국립대학인 도쿄대 등이 센터에 참가한다. 미국은 국립 반도체기술센터(NSTC)의 장비와 인재를 투입한다.

반도체는 회로 폭이 좁을수록 고성능이고 전력 소비도 적다. 2㎚는 아직 이 분야 세계 최고 기술을 가진 삼성전자와 TSMC도 상용화에 성공하지 못했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25일 세계 최초로 3㎚ 공정을 통한 파운드리 제품 양산에 성공했고, TSMC도 올해 하반기 3㎚ 제품을 내놓는다. 미국과 일본 반도체 연구의 최종 목표가 ‘대만과 한국 따라잡기’라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미·일이 뭉친 건 반도체 생산에서 대만 의존도가 높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 10㎚ 미만 첨단 반도체 생산 능력은 TSMC 등 대만 업체가 90%를 차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신문은 “중국의 대만 침공 등으로 대만이 위기 상황에 빠질 시 미국과 일본에 반도체 공급이 중단될 위험이 있다”며 “대만 의존을 조금이라도 낮추는 것이 경제 안보상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고 전했다.

두 나라가 한국과 대만의 도움 없이 첨단 반도체 개발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를 의식한 듯 하기우다 경제산업상은 “연구센터에는 같은 생각을 가진 다른 국가들도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일은 한국과 대만의 정부 연구기관과 민간기업에도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