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빚의 덫에 걸린 MZ세대]MZ세대 504조 ‘빚의 덫’ 출구가 없다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799호 01면

SPECIAL REPORT 

빚의 덫

빚의 덫

MZ세대가 빚더미에 올라앉았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전체 가계대출 1862조원 가운데 27.1%인 504조원을 2030이 지고 있다. 지난해 9월 중앙SUNDAY는 “2030의 대출이 은행에서만 260조원으로 3년만에 1.5배로 증가했다”며 ‘빚투(빚을 내 투자)’의 위험성을 지적했다. 하지만 ‘빚투’는 계속됐다. ‘자산 증식의 막차라도 타야 한다’며 대출을 받아 아파트를 사고, 암호화폐에 투자했다. 기준금리 인상과 자산가격 폭락으로 남은 것은 감당키 어려운 빚더미뿐이다. 금융감독원은 가계 대출 금리가 7%가 될 경우 190만명이 소득의 70% 이상을 원리금을 갚는데 써야 할 것으로 추산한다. 지금도 2030세대 차주의 9%는 소득의 절반 가까이를 원리금 상환에 쓴다. 이미 지난해부터 MZ세대의 개인회생 신청과 우울증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2003년에도 비슷한 일이 벌어졌다. 외환위기 이후 묻지마 신용카드 발급과 현금서비스 남발로 신용불량자가 372만명까지 늘었다. 원금 상환 유예, 개인 파산 등 구제 정책이 나왔다. 당시 카드 채권은 88조원 규모였다. 이번에는 덩치가 훨씬 크다. 금리 인상이 계속될 판이어서 빚은 더 불어날 공산이 크다.

관련기사

정부도 뒤늦게나마 이자 탕감, 원금 상환 유예 등의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시민 반응은 싸늘하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67.6%가 ‘빚 없는 사람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응답했다. 실질적인 효과 역시 의문이다. 일자리 양극화라는 구조적인 문제 탓이다. 임금 근로자 1924만명 가운데 대기업 종사자는 306만명이다. 대졸 신입사원 초봉은 대기업에서 5084만원인데, 중소기업은 2983만원이다. 소득이 충분한 사람은 구제가 필요 없고, 저소득층은 탕감해줘도 다시 빚을 지기 십상이다. 사회·경제적인 문제가 얽혀 뾰족한 대안은 보이지 않는데 거대한 빚폭탄의 초침은 계속 돌아간다. 재깍재깍.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