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구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정부가 수립된 이후 공식적으로 인구를 처음 집계하기 시작한 게 1949년이다. 이후 매년 인구는 늘었는데 지난해 처음 꺾였다. 인구가 줄었는데 고령층 비중은 또다시 역대 최대에 이르렀다. 전체 인구의 16.8%가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다. 1인 가구는 처음으로 700만 가구를 돌파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인구는 5173만8000명으로, 전년 같은 달보다 9만1000명(0.2%) 감소했다. 전년 대비 인구가 줄어든 건 72년 만으로, 조사 시작 이후 처음이다.
인구주택총조사는 주민등록통계나 인구동향과 달리 외국인 등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을 포괄한다. 외국인 유입, 내국인 유출 등도 집계 대상이다.
1인 가구도 첫 700만 돌파 … 전체 가구 수의 3분의1 넘어서
지난해는 역대 최저인 출산율에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사망자 증가까지 겹쳤다. 외국인 유입 감소도 영향을 미쳤다. 보편적 가구 형태가 변할 날도 멀지 않았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17만6000가구로 전체의 33.4%에 달했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870만7000명이다. 1년 전(828만7000명)보다 41만9000명(5.1%) 증가했다. 지난해 고령인구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8%로 역시 2020년(16.0%)보다 높아졌다. 국민 6명 중 1명은 노인이라는 의미다. 고령인구 비율이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고령인구 구성비가 최근 약 1%포인트씩 증가하는 점을 고려하면 4년 내로 한국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에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생산연령인구는 3694만4000명으로 전체의 71.4%를 차지했는데 2016년과 비교하면 2%포인트(67만7000명) 줄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하는 고령층 인구인 노년부양비는 23.6으로 치솟았다. 현재 생산인구 4명이 1명의 노인을 부양하고 있다는 뜻인데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