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준석 축출설' 힘실은 尹 "내부총질" 문자…李와 갈등 세 장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윤석열 대통령이 당무에서 배제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를 “내부 총질이나 하던 당 대표”라고 지칭한 문자메시지가 26일 공개돼 파문이 일고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권성동 당 대표 대행 겸 원내대표에게 “당 대표가 바뀌니 달라졌다”며 이같이 말했고, 권 대행은 “대통령님의 뜻을 잘 받들어 당정이 하나되는 모습을 보이겠다”고 화답했다.

26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 398회 임시회 6차 본회의 대정부 질문도중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문자대화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26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 398회 임시회 6차 본회의 대정부 질문도중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문자대화를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 대표는 지난 8일 국민의힘 윤리위원회로부터 성상납 및 증거인멸 교사 의혹으로 당원 자격정지 6개월이라는 중징계 처분을 받았다. 현직 여당 대표 징계라는 사상 초유의 사태였다. 이 대표는 자신에 대한 징계 추진 배경에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 관계자)’이 있다고 노골적으로 불만을 제기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의 문자메시지가 공개되면서 윤핵관 세력의 ‘이준석 축출설’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

윤석열 당시 대선 예비후보가 지난해 7월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입당원서를 제출한 뒤 권영세 대외협력위원장, 의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윤석열 당시 대선 예비후보가 지난해 7월3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입당원서를 제출한 뒤 권영세 대외협력위원장, 의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1 '이준석 패싱' 논란의 시작, 尹의 기습 입당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갈등은 대선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3월 검찰총장을 사퇴한 후 야권 대선 후보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었고 제1야당인 국민의힘 입당은 기정사실화 된 상황이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지난해 7월30일 이 대표가 지방 일정으로 서울 당사를 비운 사이 전격 입당했고, 이후 이 대표는 “형식에 있어 굉장히 아쉬운 부분이 있다”며 불편한 기색을 내비쳤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윤석열 당시 대선 후보가 지난해 12월3일 오후 울산 울주군 한 식당에서 회동을 마친 뒤 포즈를 취하며 대선승리를 다짐하고 있다. 뉴스1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윤석열 당시 대선 후보가 지난해 12월3일 오후 울산 울주군 한 식당에서 회동을 마친 뒤 포즈를 취하며 대선승리를 다짐하고 있다. 뉴스1

#2 이준석 "당 대표는 대통령 후보 부하 아니다" 

윤 대통령은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시절에도 국민의힘 지도부가 주관한 행사에 연달아 불참해 ‘이준석 패싱’ 논란을 만들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확정된 후에도 선거대책위원회를 꾸리는 과정에서 인선 문제 등으로 끊임없이 부딪혔고 심지어 선대위 일정마저 이 대표에게 공유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터지는 등 잡음이 계속됐다. 이 대표는 지난해 11월29일 페이스북에 “그렇다면 여기까지”라는 말을 남기고 잠행에 들어갔다. 이 대표는 잠행 중에도 “당대표는 적어도 대통령 후보의 부하가 아니다”라며 윤 대통령을 직격했지만 윤 대통령이 이 대표가 있는 울산으로 찾아가 화해의 술잔을 기울이고 벌건 얼굴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1차 봉합이 된 듯했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준석 당 대표가 지난 1월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포옹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이준석 당 대표가 지난 1월6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포옹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3 상임선대위원장직 사퇴와 봉합

하지만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화해무드는 한 달을 채 가지 못했다. 지난해 12월21일, 이 대표는 당시 윤 후보의 공보담당을 맡고 있던 조수진 최고위원과 ‘윤핵관’ 문제 등으로 말다툼 끝에 “선대위 내에서 모든 직책을 내려놓겠다”며 상임선대위원장직을 사퇴했다. 이 여파는 선대위 해산과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졌다. 이듬해 1월 6일 극한으로 치닫던 두 사람의 갈등이 극적으로 봉합되면서 대선과 지방선거 승리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대통령과 여당 대표 사이의 앙금은 집권 내내 불안 요소라는 지적이 나왔고 결국 이번 ‘문자메시지’ 사건으로 또 한차례 표출됐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