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이후 와인·맥주 음주 늘고 소주는 줄었다

중앙일보

입력

서울 중구 을지로 노가리 골목. 중앙포토

서울 중구 을지로 노가리 골목. 중앙포토

코로나 이후 소주 음주량은 줄고 와인·맥주·탁주 등의 알코올 함량이 적은 저도주 소비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강창범 건강증진사업센터장은 26일 보건복지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 주최 제3차 미래건강전략 포럼에서 이런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강 센터장은 코로나19 이전, 지난해 7월(1057명), 단계적 일상회복 시기인 지난해 11~12월(3600명) 음주행태를 조사했다.

코로나19 초기에는 음주가 잠깐 줄었으나 지난해 7월 이후 증가하는 추세다. 월 1회 이하 술을 마신다는 응답자(술을 적게 마시는 사람)는 코로나 이전 40.2%에서 코로나 초기(2020년 1~7월) 54.3%로 늘었다. 하지만 지난해 11월에는 42.4%로 줄었다.

반면 주 2~3회 음주는 코로나 이전 22.1%에서 코로나 초기 16.4%로 줄었다가 지난해 11월 19.7%로 증가했다. 주 4회 이상 음주는 코로나 이전 4.6%에서 죽 늘어 지난해 11월 10.9%로 올랐다.

음주량도 비슷한 추세이다. 한 자리에서 1~2잔 먹는 비율은 코로나 이전 26.6%에서 코로나 초기 34.5%로 크게 늘었다가 지난해 11월 24.9%로 줄었다. 3~4잔, 5~6잔, 7~9잔, 10잔 이상 마시는 비율은 코로나 초기 이후 증가한다. 특히 10잔 이상은 코로나 초기 9.2%에서 지난해 11월 11.9%로 늘었다.

폭음(남성은 7잔, 여성은 5잔 이상) 빈도도 마찬가지다. 주 2~3회는 코로나 이전 6.9%에서 지난해 11.4%로, 주 4회 이상은 2.8%에서 5%로 뛰었다.

주종이 달라졌다.
와인의 증가세가 두드러진다. 코로나 이전 0.8%에서 코로나 이후 6%로 늘었다. 맥주도 47.5%→51.9%로, 탁주도 3.5%→5%로 저도주가 전반적으로 늘었다. 반면 소주는 39.8%에서 31.2%로 뚝 떨어졌다.

혼술도 크게 줄었다. 지난해 11월 이전 혼자 술을 마신 비율이 21.7%에서 단계적 일상회복 개시 이후 8.2%로 크게 줄었다. 가족과 마신 비율도 비슷하다. 반면 친구나 선후배와 마신 비율은 31.1%에서 37.4%로, 직장동료는 12.1%에서 26%로 늘었다. 음주 장소도 집은 뚝 떨어지고 식당이나 주점이 급증했다.

코로나 이후 우울 증세를 호소하는 사람이 늘었다. 도 우울 증세와 술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왔다. 우울 증세가 평균 이하인 사람보다 평균 이상인 사람이 술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왔다. 음주 폐해와 상관관계는 더 높았다. 코로나로 우울 증세가 늘고 음주가 늘어나는 게 무관하지 않다는 뜻이다.

술을 마시는 목적은 친목, 관계 형성이다. 응답자의 68%는 최근 1년간 절주나 금주를 시도한 적이 없다.

혼술이나 집에서 마시는 것을 선호하고 편의점에서 사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 구매도 증가한다.

강 센터장은 음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2013년 9조4524억원에서 2019년 15조 806억원으로 증가했다고 공개했다. 2020년 하루에 14.1명이 음주로 인해 숨진다.

응답자의 66.6%는 음주 폐해가 심각하다고 여긴다. 음주 운전, 주취 폭력 등의 범죄, 공공장소 소란 등이 대표적이다.

강 센터장은 "음주 폐해 예방정책은 주류 접근성을 규제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며 "가격, 판매시간, 장소 등을 제한하는 환경조성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담배 광고 규제 수준으로 주류 광고 규제를 강화하고, 미디어의 음주장면 규제를 강화하며, 금주구역 지정 운영의 실효성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