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조선 옥포조선소에서 지난 23일 오후 1독의 게이트를 열고 30만t급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을 바다로 끌고 나와 처음으로 물에 띄웠다. 이 선박은 오는 11월 말 인도 예정인데, 공정이 계획보다 5주가량 밀린 상태다. 2독의 작업은 25일부터 재개된다. [사진 대우조선해양]](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7/25/eff240c2-14bc-4b70-b938-dc9d58f1797e.jpg)
대우조선 옥포조선소에서 지난 23일 오후 1독의 게이트를 열고 30만t급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을 바다로 끌고 나와 처음으로 물에 띄웠다. 이 선박은 오는 11월 말 인도 예정인데, 공정이 계획보다 5주가량 밀린 상태다. 2독의 작업은 25일부터 재개된다. [사진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조의 점거 농성으로 선박 건조에 차질을 빚어온 대우조선해양이 휴일과 휴가를 반납하고 정상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24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23~24일 직영·협력업체 직원 2만여 명 중 현장 직원 1만여 명이 출근해 작업을 진행했다”며 “25일부터는 1만6000명 정도가 근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 23일부터 내달 7일까지는 이 회사가 정한 하계 집중휴가 기간이지만, 80%가량은 출근을 하는 셈이다.
대우조선은 지난 22일 오후 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조합원 7명이 옥포조선소 1독(dock·선박 건조장) 점거를 풀자 지난달 18일 이후 중단됐던 작업을 재개했다. 곧바로 1독에 물을 채우기 시작해 23일 오후 1시쯤 게이트를 열고 30만t급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을 바다로 끌고 나와 진수 작업(새로 만든 배를 처음 물에 띄우는 작업)을 마무리했다. 이 선박은 오는 11월 말 인도 예정인데, 공정이 계획보다 5주가량 밀린 상태다.
그동안 하청지회 점거 농성으로 총 세 척의 선박 진수가 지연돼 왔다. VLCC가 나간 1독에서 물을 빼고 청소를 비롯해 후속 선박 건조 등 다음 작업 채비에 들어갔으며, 2독은 25일부터 작업이 재개된다.
통상 조선소의 귀책 사유로 인도 지연이 발생할 경우 조선소가 발주사에 하루 수천만~수억원의 지체보상금을 물어내야 한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직원들 다수가 휴가 기간 중 특근을 통해 2~3주가량을 만회하고 시운전 등도 신속하게 한다는 계획”이라며 “하지만 휴가 기간의 시스템 정비 등을 고려하면 지연된 공정의 100%를 만회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대우조선 사내협력사협의회와 하청지회는 올해 4.5%의 임금 인상과 명절 휴가비 50만원, 여름 휴가비 40만원 등에 최종 합의했다. 하청지회는 파업 돌입 당시만 해도 “임금 30% 인상”을 요구해왔다. 하지만 선박 점거 농성에 따른 대우조선의 손실이 크게 늘고 여론이 악화하자, 합의안은 당초 요구안보다 크게 후퇴했다.
조선소가 다시 돌기 시작했지만, 갈등이 완전히 봉합된 건 아니다. 하청지회 측이 요구했던 ‘민·형사상 소송 면책’은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대우조선은 8165억원의 피해를 본 것으로 자체적으로 추산한다. 매출 감소 6468억원, 고정비 지출 1426억원, 지체보상금 271억원 등이다.
회사 측은 “회사의 손해가 명백함에도 회복 노력을 하지 않을 경우 경영진이 업무상 배임 혐의로 고발 조처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하청지회가 요구한 소송 면책을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은 것도 이 때문으로 보인다.
파업에 참여한 하청지회 조합원은 21개 협력사 150여 명이다. 대우조선 협력업체 전체 직원 1만1000여명 중 98%는 이미 파업 전 개별 임금 협상을 마친 상태였다. 대부분 4~7%대의 임금 인상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폐업 협력업체 소속 민주노총 조합원에 대한 고용 승계 문제도 명확하게 마무리되지 않았다. 하청 노사는 이 문제들도 계속 논의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노-노 갈등’도 끝나지 않았다. 대우조선 원청 노조인 금속노조 대우조선지회에서는 지난 21~22일 금속노조 탈퇴를 묻는 찬반 투표가 진행됐다. 하지만 22일 개표 과정에서 부정투표 의혹이 제기돼 개표 작업이 중단된 상태다. 대우조선지회는 법원 판단 및 지회 내부 논의를 거쳐 재개표 여부를 정할 방침이다.
한편 경찰은 김형수 지회장 등 파업을 주도한 9명에 대해 수사를 진행 중이다. 체포영장은 지난 22일 법원에서 기각됐지만 압수수색 영장은 발부됐다. 경찰은 추가 증거 확보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