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후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소재 일본 총리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등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관을 실은 장의차를 향해 손을 모으고 고개를 숙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7/13/7f53573e-ee98-4d13-8032-82ddfc1dbe36.jpg)
12일 오후 일본 도쿄도 지요다구 소재 일본 총리관저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등 일본 정부 관계자들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관을 실은 장의차를 향해 손을 모으고 고개를 숙이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8일 세상을 떠난 아베 신조(安倍晉三) 전 일본 총리 장례식이 가족장으로 마무리된 가운데, 일본 정부와 자민당은 외국 조문 사절단이 참석하는 정부 주도 장례식을 올해 가을 여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라고 13일 지지통신이 보도했다.
현재 이 장례식의 형태로는 전례에 따라 정부·자민당 합동장이 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린다.
일각에선 아베 전 총리가 역대 최장수 총리인 점을 고려해 ‘국장’으로 치러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고 지지통신은 전했다.
국장에는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데, 제2차 세계대전 후 전직 총리 사망에 따른 국장이 치러진 사례는 일본이 패전 뒤 주권을 회복한 샌프란시스코 강화 조약(1952년)을 체결한 요시다 시게루(1878∼1967)가 유일했다.
마쓰노 히로카즈 관방장관은 전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추후 장례 절차와 관련한 질문에 “현시점에서 결정된 것이 없다”며 “과거 사례와 유족의 의향에 근거해 앞으로 검토하겠다”고 설명했다.
우익 성향의 산케이신문은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국장이 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며 “최근에는 정부·자민당 합동장이 주류이고 아베 전 총리도 이 형식이 될 가능성이 유력하다”고 보도했다.
아베 전 총리는 8일 나라현 나라시에서 참의원 선거 후보 지원 유세 중 총격으로 사망했다. 아베 전 총리 장례식은 지난 12일 도쿄 내 사찰 조조지에서 가족장으로 치러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