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재유행 위험 증가…정부, 분만·투석 등 특수환자 병상 확보 나선다

중앙일보

입력

서울의료원 코로나19 재택환자 전담 응급센터. 뉴스1

서울의료원 코로나19 재택환자 전담 응급센터. 뉴스1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상승세로 돌아선 가운데 정부가 분만, 투석 등 특수환자 병상 확보에 나서기로 했다.

6일 이상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2차장(행정안전부 장관)은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에 대비해 병상 확보, 방역 점검 강화를 통해 의료와 방역 대응체계가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분만, 투석, 소아 확진자를 위한 특수 병상이 재유행 기간에도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거점전담병원의 특수치료 병상과 지역 수요 대응을 위한 일반 병상의 적정 규모를 유지하기로 했다.

지난 4일 기준으로 투석 병상은 288개(거점 199개·거점 외 89개), 분만 병상은 250개(거점 217개·거점 외 33개), 소아 병상은 246개(거점 141개·거점 외 105개)가 각각 마련돼 있다.

이 가운데 중증 병상은 투석 82개, 분만 33개, 소아 18개다.

정부는 재유행으로 특수치료 수요가 급증할 경우 시·도(권역)별로 특수치료 대응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인접 시·도 간 특수병상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체계를 구축해 병상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또 소아·산모 등 특수환자가 입원이 가능한 병원으로 바로 이송될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명확히 정비하고, 응급 시에는 별도 배정 절차 없이 자체 입원도 가능하도록 기준을 안내할 예정이다.

응급실의 경우, 음압 격리병상이 꽉 차면 일반 격리병상에서도 확진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이달 중 ‘감염병 유행시 응급실 운영 권고안’을 개정한다.

박향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오미크론 유행 이전에 중증 병상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응급실 일부가 문을 닫는 경우가 많았는데 현재는 거의 회복됐다”며 “다시 음압·일반격리실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응급실 병상 현황을 119구급대 등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도록 응급자원정보시스템(종합상황판)을 고도화하고, 비상시에는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이송병원 선정·전원 업무를 지원하도록 했다.

정부는 지난달부터 복지부-중앙응급의료센터-대한응급의학회로 구성된 민관합동 태스크포스(TF)를 주기적으로 운영하며 응급의료 대응체계를 점검하고 있다.

각 지자체에서도 소방본부와 의료기관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통해 확진자 이송-응급실 진료-입원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대응체계를 다지고 있다.

감염에 취약한 외국인 근로자 사업장과 건설 현장에 대해서는 이날부터 오는 29일까지 전국 외국인고용사업장과 건설현장 등 약 500개소를 대상으로 각 지방고용노동관서장이 직접 현장점검에 나선다.

외국인 근로자 고용 허가 대상 사업주에게는 방역수칙 자율점검을 요청하고, 외국인 커뮤니티 및 주한 공관 등을 통해 사업장과 개인 방역수칙을 안내한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왼쪽)이 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왼쪽)이 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2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신규 확진자 수는 1만9371명으로 수요일 기준 지난 5월 25일(2만3945명) 이후 6주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감염재생산지수도 3월 넷째 주 이후 처음으로 1 이상을 나타내는 등 확진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재유행 증가 위험이 증가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하면서도 재원 중인 중환자 수가 13주 연속으로 줄고 있고 사망자 수도 최근에는 10명 내외까지 감소하고 있으며 전체 병상 가동률은 한 자릿수대를 유지하고 있어 의료 대응 여력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감소세였던 확진자 발생 규모가 증가세로 전환된 것은 분명해보인다”며 “앞으로 계속 증가해 새로운 유행 양상(재유행)으로 돌입하는지는 전문가들과 질병관리청이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