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천하의 잡놈'이 부처로 보일 때까지…45년간 무식하게 찾아간 곳 [백성호의 한줄명상]

중앙일보

입력

백성호의 현문우답’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부처님 만나는 심정으로 교도소 찾아갑니다.”

#풍경1

경북 울진의 불영사(佛影寺)는
천년 고찰입니다.
신라 진덕여왕 5년(651)에
의상 대사가 창건한 절입니다.
지금은 비구니 사찰입니다.

1984년 겨울, 불영사 선방에는
동안거(冬安居)에 들어간 비구니 수좌들이
수행을 하고 있었습니다.
겨울 석 달간 산문 출입을 금한 채
선방에서 좌선만 하며
수행하는 걸 동안거라고 부릅니다.

정현 스님은 45년 넘는 세월 동안 교도소 법회를 이어오고 있다. [중앙포토]

정현 스님은 45년 넘는 세월 동안 교도소 법회를 이어오고 있다. [중앙포토]

그해에 선방 스님들이 단체로
간염 검사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병원에서 ‘정현’이라는
비구니 스님에게 ‘사형선고’를 내렸습니다.

“두 달밖에 못 산다.
   선방에서 나와 병원에서
   격리 치료를 받아라.”

절집에서는 난리가 났습니다.
동안거를 중간에 접고,
병원에 입원을 해야 할 것인가.
선방의 모든 스님이 모여서
대중공사(大衆公事)를 했습니다.

산중의 모든 스님이 참석해
승가(僧家)의 대소사를 결정하는
민주적 제도를 ‘대중공사’라고 부릅니다.

갑론을박이 있었지만
대중공사의 결론은 이랬습니다.
“죽어도 같이 죽자.”

물론 정현 스님 본인부터
그렇게 마음을 먹었습니다.

  “동안거가 끝나기 전에
   죽을 수도 있었다.
   그렇게 죽기로 작정을 했다.
   정말 백척간두에서 한 발짝
   내딛는 심정으로 수행을 했다.
   ‘나는 이 생에서 이미 죽은
   목숨이라고 생각했다.”

불영사 선방의 석 달 동안거는
그렇게 흘러갔습니다.
동안거를 마치고 해제하는 날,
정현 스님은 여전히
살아 있었습니다.

정현 스님은 지금도 말합니다.

  “그때 한철 공부가 제게는
   평생 양식이 됐다.”

정말 죽기로 작정하고
자신을 내려놓은 채
마음공부를 했으니,
그 오롯함과 치열함이
얼마나 대단했을까요.

#풍경2

정현 스님이 대구 동화사 내원암에
있을 때였습니다.
절에 있던 오래된 병풍을
도둑맞았습니다.

경찰서에서 연락이 와 갔더니
도둑이 잡혀 있었습니다.
남자 둘이었습니다.
나이는 40대 후반,
그날 낮에 절에 와서 미숫가루를
얻어먹고 간 사람들이었습니다.

정현 스님이 물었습니다.

“아이가 몇잉교?”

한 사람은 둘,
또 한 사람은 셋이라고 했습니다.
경찰이 물었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정현 스님은 훈방조치를 청했습니다.

저는 이 대목을 들으면서
소설 ’레미제라블‘이 떠올랐습니다.

누이동생과 일곱 조카를 부양하느라
빵을 훔친 장발장은
5년형을 선고받고,
거듭된 탈옥 시도로 감옥에서
13년을 살고 나왔습니다.

배고픔과 추위에 떨다가
성당 벤치에 쓰러진 장발장에게
밀리에르 신부는 빵과 따뜻한 잠자리를
내주었습니다.
은혜를 잊은 장발장은 사제관의 은접시를
훔쳐서 나오다가
헌병에 붙잡혔습니다.
밀리에르 신부는 은접시에다
은촛대까지 내주며
이렇게 말합니다.

  “정직하게 살게.
   자네 영혼은 내가 사서
   하느님께 바쳤다네.”

정현 스님은 그때부터
경찰서 유치장 법회를 시작했습니다.
그 사건으로 경찰서를 찾아갔던 게
인연이 됐습니다.

#풍경3

정현 스님의 경찰서 유치장 법회는
다시 교도소 법회로 이어졌습니다.

처음에는 교도소 법회가 있다기에
무심코 따라나섰습니다.
도둑놈도 만나 보니
보통 사람인데,
죄짓고 감옥에 있는 수형자들은
어떤 사람일까.
그런 궁금증이 더 컸다고 했습니다.

추운 겨울, 교도소에서
정현 스님은 푸른 수의를 입은
수형자들을 봤습니다.
집으로 돌아왔는데,
자꾸 눈물이 났습니다.
아무런 연고도 없는 사람들인데,
자꾸만 눈물이 났습니다.

정현 스님은 푸른 수의를 입은 수형자들을 보며 그들의 아픔이 느껴졌다고 했다. [중앙포토]

정현 스님은 푸른 수의를 입은 수형자들을 보며 그들의 아픔이 느껴졌다고 했다. [중앙포토]

그날 밤, 정현 스님은
방의 보일러를 껐습니다.
얼음장 같은 방에서
덜덜 떨면서 잠을 잤습니다.
며칠이나 그렇게 잤습니다.
결국 몸살이 나서
몸져누웠습니다.

  “수형자들은 불 꺼진 방에서
   잠을 잔다.
   그 사람들 마음을 알고 싶었다.
   과거 생에 나도 사형수의 삶을
   살았는지 모르지 않나.”

그날부터 정현 스님의
교도소 법회가 시작됐습니다.
교도소 강당에서
무기수들을 대상으로
작은 법회를 열곤 했습니다.
“남을 원망하지 마세요.
   대신 자신의 허물을 찾으셔야 합니다”라며
‘어머니의 마음’이라는 노래도 불러주고,
법문도 함께했습니다.

대구교도소와 경주교도소 재소자들은
정현 스님을 “어머니”라고 불렀습니다.
40년 넘게 교도소 법회를 했으니까요.

정현 스님은 지금 강화도 청련사에
머물고 있습니다.
요즘은 서울구치소를 찾아가
정기적으로 법회를 하고 있습니다.
첫 교도소 법회부터 지금까지,
무려 45년이 넘는 세월입니다.

#풍경4

저는 궁금했습니다.
강산이 네 번이나 바뀌는 세월,
45년 넘게 재소자들을 만나면서
스님은 무엇을 봤는지,
또 무엇을 느꼈는지 말입니다.

시원시원한 성격의 정현 스님은
이 물음에도 솔직하고 담백하게
답을 했습니다.

  “처음 10년은 수형자들을
   가르치려고 했다.
   꿈과 용기, 희망 같은 걸
   가르치려고 했다.
   나중에서야 알았다.
   내 마음 바닥에 이런 생각이 있더라.
   수형자들은 천하의 잡놈이구나.
   나는 거룩한 스님이구나.”

그렇게 10년, 또 10년이 지나자
수형자들을 바라보는
눈이 달라졌다고 했습니다.

  “20년이 지나니까 보이대요.
   저 사람들과 내가 동등하구나.
   참으로 동등하구나.
   이제 정말로 둘이 아니구나.
   부처님 말씀대로
   사형수와 내가 법의 성품에서
   동등하구나.”

그로부터 또 10년이 흘렀습니다.
교도소 법회를 시작한 지
30년이 됐을 때였습니다.
그때 정현 스님은 깨달았다고 했습니다.
자신이 수형자들을 가르친 게 아니라,
수형자들이 자신을 가르쳤다는 걸
깨달았다고 했습니다.

  “30년 교도소 법회를 하니까
   비로소 내 업이 녹는 게 느껴졌다.
   업이 녹으니까 보이대요.
   수형자들이 진흙 속에서 핀
   연꽃이구나.
   이 사람들이 부처로구나.
   정말 살아있는 부처구나.
   30년 법회의 공덕은 저에게
   그런 식으로 돌아왔습니다.”

불교 기관의 소임을 맡더라고
출가한 승려의 월급은
얼마 되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정현 스님은 자신의 월급을
반 넘게 뚝 떼서
교도소를 찾아다녔습니다.
아는 사람 몇몇이 약간의 돈을
보태기도 했습니다.

정현 스은 "오랜 세월이 지나서야 비로소 수형자들이 부처로 보이더라"고 말했다. [중앙포토]

정현 스은 "오랜 세월이 지나서야 비로소 수형자들이 부처로 보이더라"고 말했다. [중앙포토]

정현 스님은 이제 이렇게 말합니다.

  “옛날에는 교도소를 찾아갈 때
   슬픈 마음이었어요.
   제가 슬픈 마음으로 수형자들을
   만났습니다.
   지금은 달라졌습니다.
   정말 부처님을 만나는 심정으로
   사탕을 사 들고,
   과자를 사 들고 찾아갑니다.
   제가 수형자들에게 꿈과 용기, 희망을
   준 게 아니었습니다.
   그 사람들이 저에게
   그걸 준 것이었습니다.”

강화도 있는 정현 스님과
어제 전화 통화를 했습니다.
스님의 목소리는 여전히 기운차고
밝았습니다.

  “제가 무식하니까
   지금까지 했지.
   안 무식했으면
   어떻게 45년간 했겠습니까.”

그 말 속에는
오롯함이 있었습니다.
아마도 그건
병원에서 ‘사형선고’를 받고도
선방에서 가부좌를 풀지 않았던,
이 한목숨 내놓고
진리와 마주하겠다는
당당한 기백과 오롯함이
아니었을까요.

돌아보면 정현 스님에게는
교도소가 또 하나의 선방이었나 봅니다.
푸른 수의를 입은 수형자들이
또 하나의 부처였나 봅니다.

세상 어떤 이도
부처 아닌 이가 없고,
세상 어떤 곳도
선방 아닌 곳이 없다는 말이
빈 말이 아닌가 봅니다.

〈‘백성호의 한줄명상’은 매주 수요일 연재〉

백성호의 한줄명상, 다른 기사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