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감원, 최대주주 자주 바뀌는 기업 투자주의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최대주주가 자주 바뀌는 상장사는 재무상태 부실, 횡령·배임 같은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대주주 변동이 잦을수록 기업 경영권이 흔들려 안정적인 기업 운영이 어려울 수 있어서다.

4일 금융감독원은 지난 3년간 국내 상장사 10곳 중 2곳의 최대주주가 교체됐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2019~2021년 전체 상장사(2384곳, 스펙·리츠 제외)의 21%인 501곳의 최대주주가 바뀌었다. 이 중 3년간 최대주주가 세 번 이상 바뀐 기업도 45곳이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이들 기업은 재무상태 부실(64.4%), 관리종목 지정(48.9%), 상장폐지(15.6%), 횡령·배임(28.9%) 등의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65.7%)이 가장 많았고 서비스업(31.5%)이 뒤를 이었다. 최대주주 변경 비율도 제조업(21.9%)이 가장 높았다. 금감원은 “최대주주 변경이 빈번한 기업은 문제가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투자 시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대주주 변경은 기업 평가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다. 시장에선 최대주주 변경이 빈번할수록 재무 상태가 부실하다는 징후로 해석한다. 지난 3년간 최대주주가 세 번 이상 바뀐 기업의 경우 64.4%(29곳)가 당기순손실을 냈다. 28.9%(13곳)은 자본잠식에 빠졌다. 감사(검토)의견 비적정·자본잠식·회생절차 개시 등 관리종목지정도 48.9%(22곳)이나 됐다. 상장폐지(15.6%·7곳), 횡령·배임(28.9%·13곳) 비중도 높았다.

유상증자 같은 자금 조달도 잦았다. 3년간 평균 4.8회꼴로 유상증자나 전환사채(CB) 발행이 이뤄졌다. 같은 기간 나머지 상장사의 평균 자금조달 횟수(1.1회)의 4배 수준이다. 신주 발생이 잦으면 주식가치가 떨어질 수 있다.

최대주주 변경은 대개 주식양수도계약(31.6%), 제3자 배정 유상증자(26.3%), 장내 매매(14%) 같은 방식으로 이뤄졌다. 예컨대 기존 최대주주의 담보주식의 반대 매매가 이뤄져 2대 주주가 최대주주로 올라서는 식이다. 이후 적대적인 인수합병(M&A)을 통해 제삼자에게 경영권을 뺏기거나 최대주주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스스로 양도·매각해 최대주주 변경이 반복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최대주주 변경 후 신규 최대주주의 지분율은 평균 27.5%였다. 기존 최대주주 지분율보다 4.8%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최대주주 변경이 빈번한 기업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해 공시심사 강화 및 모니터링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