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제조기업 91% "하반기 글로벌 공급망, 상반기와 비슷하거나 악화"

중앙일보

입력

국내 제조업체들은 자사의 공급망 경쟁력을 대체로 낮게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상당수 업체는 올해 하반기 공급망 여건에 대해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전경련

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지난달 22∼27일 시장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상위 1000대 제조기업 중 150곳을 대상으로 '제조기업의 공급망 전망과 과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3일 공개했다.

전경련 조사 결과 응답 기업들은 자사의 현재 공급망 경쟁력에 평균 58점(100점 만점)을 줬다. 영역별로 보면 유연성(팬데믹, 재해와 같은 돌발상황에 잘 대처), 분산성(특정 국가·업체에 편중되지 않음), 신속성(권역별 공급망 현지화로 신속하게 대응함) 등은 평균 56∼58점이었다. 디지털화(공급망의 디지털 전환, 데이터 통합), ESG 대응성(주요국·업체의 ESG 요구에 잘 대응함)은 각각 55점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했다.

최근 2년간 글로벌 공급망 위기로 피해를 본 기업들은 원인으로 '특정 지역 봉쇄 등으로 인한 팬데믹 리스크'(35.3%), '우크라이나 사태나 국제정세 불안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30.7%), '운송 지연이나 파업 등 물류·운송 리스크'(27.5%) 등을 들었다.

이들 중 글로벌 공급망 재조정에 대해 '이미 구체적 대책을 마련했다'고 답한 곳은 6.0%에 그쳤다. 44.0%가 '검토 중'이라고 답했고, 35.3%가 '검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 글로벌 공급망 여건에 대해서는 대다수가 '상반기와 비슷'(48.0%)하거나 '악화'(42.7%)할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망 개선을 위한 내부 대책엔 '복수의 기업으로부터 재료·부품을 조달해 대체 공급망 구축'(38.3%), '동일 제품을 타 거점에서도 생산'(22.1%), '재료·부품·제품 재고 확대'(12.1%), '스마트 제조 및 생산 자동화율 확대'(11.1%) 등의 순으로 답했다.

공급망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 정책으로는 '수급처 다변화를 위한 거래처 정보제공 및 지원'(32.3%), '글로벌 공급망 모니터링 및 위기 경보 시스템 강화'(22.0%)', '공급망 리스크 민감 품목 관리·지원체계 고도화'(17.3%)' 등의 의견을 밝혔다.

전문가들도 올해 하반기 글로벌 공급망의 불안이 계속될 것으로 보면서 정부와 민간 모두의 대비 필요성을 강조했다.

문일경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는 "유가 급등과 인플레이션,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하반기에도 공급망 혼돈은 지속될 것"이라며 "정부의 범부처적인 통일된 공급망 컨트롤타워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