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선 전기 용머리 장식기와 완전한 형태 찾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태안 청포대 갯벌 출토 조선 왕실 관련 용머리 장식기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관계자들이 검파를 취두에 꽂는 시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9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된 태안 청포대 갯벌 출토 조선 왕실 관련 용머리 장식기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관계자들이 검파를 취두에 꽂는 시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선 전기 용머리 장식기와(취두, 鷲頭)가 완전한 형태로 처음 확인됐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9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충남 태안군 남면 양잠리 청포대 갯벌 일대에서 발굴한 ‘취두’ 상단과 취두 상단에 부착하는 칼자루 모양 장식품 ‘검파’를 첫 공개했다. 각각 올 5월과 지난해 6월 발굴한 유물이다.

이날 공개한 취두 상단은 지난 2019년 태안 갯벌에서 조개를 캐던 주민이 발견해 신고한 취두 하단과 합쳐진다. 상ㆍ하단을 합쳐 무게가 길이 103㎝, 무게 120㎏의 대형 장식기와다. 또 이는 지난해 6월 검파와 함께 발굴된 다른 취두 유물과 쌍을 이루는 것으로, 이를 통해 조선 전기 건물 용마루에 올라간 용머리 취두 전체의 온전한 형태가 처음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됐다.

조선시대 궁궐 지붕의 부분별 명칭. 사진은 창경궁 명정문 지붕 모습. [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조선시대 궁궐 지붕의 부분별 명칭. 사진은 창경궁 명정문 지붕 모습. [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조선시대 왕실 관련 마루장식기와 연구의 중요한 자료를 확보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특히 경복궁 창건기 건물 및 숭례문, 양주 회암사지 등 조선 전기 왕실 관련 건축물의 세부 모습에 대한 실질적인 고증이 가능한 유일한 고고자료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이날 공개된 검파는 길이 40.5cm, 폭 16cm, 두께 7cm 크기의 칼 손잡이 모양으로, 앞뒷면에 2단으로 구름무늬가 있고, 취두 상단의 구멍과 결합되도록 짧은 자루도 갖추고 있다. 검파는 빗물이 취두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취두에 표현된 용이 지붕을 물고 있어 더 이상 용마루를 갉아먹지 말라는 의미도 있다고 전해진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이들 유물은 서울 용산 일대 와서(瓦署)에서 만든 왕실 기와를 실은 배가 한반도 남쪽으로 향하다 침몰해 수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왕의 행궁이나 태조 초상화를 모신 전주 경기전 등에서 왕실 기와가 필요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8월 중순까지 해당지역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와 수중탐사를 진행해 관련 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취두가 출토된 인근해역의 고선박 존재와 왕실 장식기와의 생산과 지방으로의 유통에 대한 심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