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하태경 "피살 공무원, 文엔 월북 아닌 추락으로 보고됐단 제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국민의힘 하태경 해수부 공무원 피격사건 진상조사 TF 위원장이 22일 인천 연수구 해양경찰청에서 정봉훈 해양경찰청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 하태경 해수부 공무원 피격사건 진상조사 TF 위원장이 22일 인천 연수구 해양경찰청에서 정봉훈 해양경찰청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국회사진기자단]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28일 해수부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 “이대준씨가 사망하기 3시간여 전 22일 저녁 6시 36분 대통령에게 서면 보고된 내용에는 ‘월북’ 아니라 ‘추락’한 것으로 보고되었다는 제보(가 있었다)”고 밝혔다.

당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격사건 진상조사 태스크포스(TF)’ 단장인 하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이 제보 내용의 사실인지 아닌지는 당시 서훈 국가안보실장이 아주 잘 알 것이다. 서훈 실장께서 확인해주시기 바란다”고 이같이 전했다.

그는 대통령 서면 보고를 언급하면서 “대통령 서면 보고는 딱 한 문장이었다. ‘추락으로 추정되는 사고가 있었고 북측 해역에서 우리 국민이 발견됐다’ 이게 끝이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22일 저녁 대통령 첫 보고에서는 전혀 월북으로 판단하지 않았는데 23일 청와대 회의를 거치면서 24일 정부 입장이 월북으로 돌변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분명 대통령은 북측 해역에서 발견되었다는 보고를 받았음에도 즉 이대준씨 위치가 확인되었는데도 구조 관련 아무런 지시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하 의원은 “이미 국방부는 활용 가능한 대북 소통수단이 있었는데 당시 적극 활용하지 않은 사실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는 답변을 한 적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하 의원은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국방부가 시신 소각 여부에 대한 입장을 바꾼 배후로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지목하며 "(서 전 실장이) 관광 비자로 급히 미국에 나갔다"고 주장했다.

하 의원은 전날(27일) 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서주석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사무처장을 포함해 서훈 전 실장이 사실 배후였다"며 "그분(서 전 실장)이 최근 미국에 가 있다. 아무런 입장 발표를 안 하고 침묵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제가 제보를 받았는데 원래 연구원 활동을 하려면 J-1 비자로 나가야 하는데 관광 비자로 급히 나갔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하 의원은 서 전 실장의 출국 시점에 대해선 “얼마 안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문제가 불거진 후에 출국했다는 얘기냐’고 진행자가 묻자 하 의원은 "그것보다도, 하도 죄지은 게 많아서 정권 바뀌면 바로 미국 가겠다고 생각한 것 같다"고 답했다.

하 의원은 “왜 연구원 활동을 하는데 연구원 비자도 안 받고 관광비자로 급히 갔는지 이상한 것”이라며 “(서 전 실장이) 입장을 밝히면 된다. 그분이 주재한 회의에서 지금 변화가 있었다. 그분이 핵심 배후다”라고 재차 강조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