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아주 싸거나 30억 돼야 팔린다…이런 아파트 거래만 늘어난 까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약보합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초고가 아파트는 강세를 이어가면서 중저가 아파트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서울 강남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이 약보합세를 지속하는 가운데 초고가 아파트는 강세를 이어가면서 중저가 아파트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지고 있다. 서울 강남구의 한 부동산중개업소 모습. 연합뉴스

아파트 거래량이 크게 줄어드는 '거래절벽' 현상이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 두드러지고 있는 가운데 6억원 이하의 저가 아파트와 30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의 거래 비중은 지난해보다 많이 늘어났다.

2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올 초부터 이날까지의 서울 아파트 거래 건수는 총 7271건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만5414건의 28.6%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매매 가격 6억원 이하 거래는 2754건으로 37.9%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6억원 이하 거래 비중인 30.6%(7772/2만5414건)보다 7.3%P 증가했다.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은 보금자리론이 가능한 저가 아파트에 수요가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는 전체의 7.6%뿐이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5월 말 서울의 6억원 이하 아파트는 전체의 62.7%(78만7277가구)였다.

비중이 90%가 넘는 자치구도 강북구(98.0%), 노원구(97.8%) 등 8곳이나 됐다. 하지만 5년 새 아파트값이 다락같이 오르면서 도봉구(32.9%), 노원구(21.9%), 금천구(25.9%) 등 6곳을 제외한 다른 자치구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이 10% 밑으로 떨어졌다. 특히 5년 전 6억원 이하 아파트 비중이 48.7%였던 성동구에는 단 한 가구도 남지 않았다.

이렇듯 서울에서 6억원 이하 아파트를 좀처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이들 아파트의 거래는 활발하게 이뤄진 것이다. 6억원 이하 아파트의 평균 전용면적은 올해 36.9㎡(11.2평)로 공급면적으로 계산해도 1~2인 가구의 거주가 가능한 10평 후반대에 불과하다. 지난해에는 평균 47.7㎡(14.4평)이었다.

반면 서울에서 6억원 초과 9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은 21.4%(1558/7271건)로 지난해 28.0%(7105/2만5414건)보다 6.6%P 줄었다. 9억원 초과 15억원 이하 아파트 거래 비중 역시 올해 23.7%로 지난해 25.9%보다 소폭 감소했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등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상으로 인한 금융 비용 부담 등의 영향이 중저가 아파트에 더 크게 작용한 것이다.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그래픽=김현서 kim.hyeonseo12@joongang.co.kr

이에 반해 1금융권에서 주택담보대출이 불가능한 15억원 초과 아파트 거래 비중은 17.0%(1234/7271건)로 지난해 15.5%(3947/2만5414건)보다 1.5%P 늘었다. 이 가운데 30억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 비중은 지난해 2.1%(544/2만5414건)에서 올해 4.0%(292/7271건)로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30억원 초과로 거래된 아파트의 평균 거래금액(40억1424만→43억8353만원)이 4억원가량 높아졌고, 평균 전용면적은 155.5㎡에서 142.0㎡로 13.5㎡ 감소한 것도 눈에 띈다. 고가 아파트의 면적당 가격이 크게 높아진 것이다.

실제로 강남구 청담동 PH129(더펜트하우스청담) 전용면적 273.9㎡의 경우 지난 4월 28일 145억원에 직거래 된 것으로 신고돼 올해 상반기 최고 거래가 아파트로 기록됐다. 이 아파트의 동일 주택형이 작년 3월에 115억원에 팔린 것과 비교하면서 1년 새 30억원 상승했다.

서진형 공정주택포럼 공동대표(경인여대 교수)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고가 아파트 시장의 거래는 줄지 않는 등 금액별로 시장이 분화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문재인 정부에서 시행한 다주택자의 보유·취득·양도 규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핵심 지역과 단지에 수요가 몰리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선호는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