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첫 원전 수출 낭보 전할까…산업장관 체코·폴란드 가는 이유

중앙일보

입력

정부가 한국형 원자력 발전 수출을 위한 본격 수주전에 나선다. 특히 최근 신규 원전 건설 절차를 본격 진행하고 있는 체코와 폴란드가 핵심 공략 지역이다. 이들 국가는 안보상 이유로 러시아를 원전 입찰에서 제외하고 있어 어느 때보다 수출 가능성이 높다.

체코·폴란드서 ‘원전 세일즈’

22일 윤석열 대통령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경남 창원 성산구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공장을 방문해 가동을 멈춘 원자로 제작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중앙포토

22일 윤석열 대통령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경남 창원 성산구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공장을 방문해 가동을 멈춘 원자로 제작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중앙포토

26일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오는 28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체코와 폴란드를 방문한다. 이번 일정은 이 장관 취임 후 첫 해외 출장이다. 28일부터 29일까지 이뤄지는 체코 방문에서 이 장관은 시켈라 체코 산업부 장관과 비스트르칠 체코 상원의장을 각각 만난다. 30일~다음 달 1일 폴란드 방문에서는 모스크바 체코 기후환경부 장관과 부다 체코 경제개발기술부 장관을 면담할 계획이다.

이 장관이 체코와 폴란드를 첫 해외 출장지로 선택한 것은 이들 국가의 신규 원전 사업 절차가 본격 진행되고 있어서다. 체코는 두코바니와 테믈린 지역에 2040년까지 1000㎿급 원전 1~2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중 두코바니 원전 1기는 올해 중으로 발주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수력원자력은 체코 원전사업의 사전 심사 격인 안보평가를 이미 통과하고, 오는 11월 말까지 입찰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폴란드도 루비아토보-코팔리노 지역에 6000㎿~9000㎿ 원전 6기 건설하기로 하고 사업자 선정 절차에 들어갔다. 한수원은 이미 자체 사업 계획서를 폴란드에 제출하고 추가 절차 진행을 기다리고 있다. 산업부는 “한국이 원전 협력의 최적의 파트너임을 체코·폴란드에 설명하고, 원전 협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협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안보 이유로 러 빠져, 수출 가능성 커져

전문가는 체코·폴란드 원전 수출 가능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고 본다. 우선 가장 큰 경쟁자인 러시아가 빠진 점이 기회다. 원전 건설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동유럽 국가들은 대규모 차관을 제공하는 러시아 원전을 선호했다.

하지만 체코 정부는 지난해 4월 안보상의 이유로 러시아와 중국을 신규 원전 사업 잠재 공급국에서 배제했다. 러시아산 천연액화가스(LNG)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는 여론이 높은 상황에서 러시아가 체코전력공사 직원에게 입찰 핵심정보를 불법 입수한 사실이 발각됐기 때문이다. 폴란드도 우크라이나 사태를 놓고 러시아와 대립하고 있어 신규 원전 사업에서 러시아가 빠질 것이 확실시된다.

최근 건설 경험, 저렴한 비용 강점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서쪽으로 270여 킬로미터 떨어진 바라카 원전 공사 현장. UAE 바라카 원전은 첫 해외 수출에 성공한 한국형 원전이다. 중앙포토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에서 서쪽으로 270여 킬로미터 떨어진 바라카 원전 공사 현장. UAE 바라카 원전은 첫 해외 수출에 성공한 한국형 원전이다. 중앙포토

한국형 원전의 자체 경쟁력도 수출 성공 가능성을 밝게 보는 이유 중 하나다. 한국은 경쟁국과 비교해 가장 최근에 해외 원전을 건설한 경험이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한수원은 2008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해 지난해 4월 처음 상업운전에 성공했다. 반면 한국과 경쟁국인 미국과 프랑스는 원전 준공일도 맞추지 못하는 등 건설 능력이 뒤처졌다는 평가다.

저렴한 건설 비용도 장점이다. 다른 경쟁국에 비해 한국은 원전 산업 생태계를 그나마 유지하고 있어, 부품 등 원전 기자재 조달 비용이 싼 편이다. 자본이 부족한 동유럽 국가에 낮은 건설 비용은 매력적인 조건 중 하나다. 지난해 체코 공영 방송 '라디오주르날'은 “한수원의 ㎾당 건설비용은 3717달러로 프랑스 7809달러의 절반 수준이고 미국 1만1638달러의 3분의 1수준에 불과하다”고 보도했다.

지난 한·미 정상회담으로 본격화한 원전 동맹도 수출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러시아가 빠진 상황에서 원전 수출 경쟁국은 미국과 프랑스뿐인데, 미국이 한국과 손을 잡는다면 수주 가능성이 더 커진다.

방산 등 추가 협력, 한·미 동맹 활용해야

다만, 원전 자체 경쟁력 외에도 수출을 위한 추가 외교전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이다. 특히 체코·폴란드는 한국과 미래 첨단 산업 및 방산 협력을 원하는 나라이기 때문에 이 점을 원전 수출에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산업부도 이번 이 장관 출장에서 “한국과 체코·폴란드 공통 관심 사항인 전기차·수소·배터리 등 첨단산업 및 방산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했다.

효과적인 원전 수출을 위한 한·미 역할 분담도 중요하다. 특히 체코·폴란드는 미국과 안보 협력이 중요한 나라인 만큼 미국의 외교력을 한국 원전 수출에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수출 주도권을 뺏기지 않는 적절한 협력 모델을 구성해야 한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한미가 공동으로 수출하더라도 우리가 미국형 원전을 지어주는 방식이 아니라, 1기라도 한국형 원전을 수출해야 산업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