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돼지고기값 21.8% 올랐다…5월 PPI 1년 전보다 9.7% 상승

중앙일보

입력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5개월째 오르막길을 걷고 있다. 제품과 서비스 생산에 드는 비용이 점차 오르면서 소비자가 구입하는 각종 물건과 서비스의 가격도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확률이 높아졌다. 뉴스1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5개월째 오르막길을 걷고 있다. 제품과 서비스 생산에 드는 비용이 점차 오르면서 소비자가 구입하는 각종 물건과 서비스의 가격도 당분간 상승세를 이어갈 확률이 높아졌다. 뉴스1

물가 오름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5개월째 오르막길을 걷고 있어서다. 제품과 서비스 생산에 드는 비용이 뛰면서 소비자 물가도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커졌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5월 PPI는 119.24(2015=100)를 기록해 한 달 전(118.59)보다 0.5% 상승했다. 지난 1월부터 5개월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1년 전 같은 달(108.65)보다는 9.7% 뛰었다. 전년동월대비 수치는 1년 6개월째 상승 행진이다.

세부 품목별로 살펴보면 '밥상 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축산업과 연관된 물가가 전방위적으로 오른 영향이다. 한 달 전보다 돼지고기(21.8%)와 달걀(4.8%) 가격이 크게 뛰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닭고기(26.8%) 가격이 큰 폭으로 올랐다. 양우용 배합사료(18.8%) 값도 가파르게 상승했다.

가축 사료로 사용되는 곡물값이 폭등하면서 축산물 가격이 오르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 따르면 22일 기준 옥수수 선물가격(7월물)은 부셸(약 27.2kg)당 7.68달러를 기록해 연초(5.89달러) 대비 30.4% 뛰었다. 같은 기간 대두의 선물 가격(7월물)은 13.71달러에서 16.52달러로 20.5% 급등했다.

한은 관계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곡물 공급이 굉장히 제한적인 데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병목 현상으로 공급망도 망가진 상태”라며 “기후변화 등의 영향으로 작황조차 좋지 않아서 사료 가격이 폭등하며 달걀이나 닭고기 가격 등을 밀어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자극하는 건 곡물뿐만이 아니다.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국제유가의 영향으로 석탄·석유제품(5.9%)의 가격도 전달보다 상승했다. 경유(8.3%)와 휘발유(9.8%)의 가격이 한 달 사이에 크게 오른 영향이다.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하면 경유(112.6%)와 나프타(64.2%)의 가격은 그야말로 폭등 수준이다.

PPI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물가 상승 압력도 더욱 커지고 있다. PPI는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주는 선행지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물가 향방을 가늠할 수 있는 일종의 ‘예고편’인 셈이다. 예를 들어 제조업체에서 만드는 상품의 원자재 가격이나 유통비용 등 생산단가가 올라가면, 비용이 올라간 만큼 제품 가격을 밀어 올리는 식이다.

이런 분위기 속 한은도 지난해부터 올해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높여 잡고 있다. 지난달 26일 수정경제전망에서 한은은 올해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4.5%로 예상했다. 이는 지난 2월(3.1%)과 지난해 11월(2.0%)에 내놓은 전망치보다 각각 1.4%포인트와 2.5%포인트가 오른 수준이다.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

그래픽=전유진 yuki@joongang.co.kr

문제는 PPI가 앞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한은 관계자 “국내 요인보다는 (국제 유가와 우크라이나 사태 등) 대부분 해외에서 오는 요인이 물가에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국내에서 자체 대응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여력이 충분하지 않은 만큼 물가 상방 압력이 계속 커질 확률이 높다”고 분석했다.

물가가 쉽게 잡히지 않으며 국내 경제에도 ‘S(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물가상승)의 공포’가 짙어지고 있다. 국제 에너지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경기가 위축된 상황에서 한은이 물가를 잡기 위해 기준금리를 올리면 경기침체가 찾아올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난해부터 물가 상승세가 이어지는 상황에서, 올해 초 발생한 우크라이나 사태가 각국의 물가상승 압력을 더욱 높이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경우 미 연방준비제도(Fed)나 한은이 경기 침체를 감수하고서라도 기준금리를 계속 올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찾아올 것”이라고 분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