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리 급등 ‘이자폭탄’, 자영업자가 더 위험하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금리 급등

금리 급등

금리 인상기에 접어들며 한국 경제가 ‘이자 폭탄’의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대출 금리가 오르자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로 부동산과 주식에 투자한 가계와, 빚을 내 버티는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관련기사

한국은행은 22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가계부채+기업부채)의 비율은 219.4%다.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하며 전 분기(219.5%)보다는 약간 낮아졌다. 그러나 1년 전(215.2%)보다는 4.2%포인트 늘며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문제는 대출 금리가 오르면서 커지는 가계의 상환 부담이다. 전체 가계의 소득과 대출이 지난 1분기와 동일한 수준이라는 가정에 따라 평균 대출 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전체 가계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2021년 말(37.1%)보다 1.8%포인트 증가한 38.9%로 늘어난다고 한은은 추정했다. 만약 가계의 소득이 지난 1분기보다 0.5%포인트 줄고, 대출은 0.5%포인트 늘어나는 상황에서 대출 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DSR은 7.1%포인트 증가한 44.2%로 높아진다.

예를 들어 매년 6000만원(중위소득)을 버는 직장인 A씨가 30년 만기의 주담대(원리금 균등상환) 3억7300만원을 받을 경우를 가정해보면, A씨의 DSR은 총 37.05%로, 다달이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는 약 185만원이다. 그러나 대출금리가 0.5%포인트 오를 경우 A씨의 DSR은 39.27%로 한은이 추산한 평균치(1.8%포인트)보다 높은 2.17%포인트 높아진다. 다달이 갚아야 할 원리금과 이자는 196만원으로 늘어나 대출금리 상승 전보다 매달 11만원의 부담이 더 커진다. 연간 132만원의 부담이 늘어나는 셈이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이렇게 대출금리 상승에 따른 부실 위험이 커지는 건 부풀어 오른 빚 때문이다. 올해 1분기 말 가계대출 잔액은 1859조4000억원이다. 이런 상황 속에 대출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소비를 제약해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 대출금을 갚지 못하는 경우도 늘며 부실 위험도 커진다.

불어나는 이자의 또 다른 ‘약한 고리’는 자영업자다. 자영업자 대출 잔액은 지난 3월 말 기준 960조7000억원으로, 2019년 말(684조9000억원)보다 40.3% 급증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방역 정책으로 인해 매출이 줄며 빚을 내 버틴 자영업자가 늘어난 영향이란 분석이다.

하지만 기준금리 인상 기조 속에서 정부가 오는 9월까지 연장한 원리금·이자상환 유예 등의 금융 조치마저 끝나면 상황은 더 나빠질 수밖에 없다. 한은은 정부의 지원 조치 등이 사라지는 내년부터 대출 관련 위험이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한은이 자영업 가구의 DSR 변화를 추정해본 결과, 대출금리가 0.5%포인트 오르면 내년도 자영업 가구의 DSR은 0.7%포인트가 늘어 올해(0.1%포인트)보다 상승 폭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원 종료에 따른 DSR 변화도 내년 증가 폭(1.6%포인트)이 올해(0.4%포인트)보다 더 클 것으로 분석됐다.

금리 상승에 따른 가계와 자영업자의 부실이 늘면, 특히 신용도가 낮은 계층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과 카드·캐피탈·파이낸스 등 여신전문회사(여전사)의 위험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한은은 “여전사와 저축은행은 취약 대출자 비중이 높고, 담보나 보증 대출의 비중이 낮은 편이라 자영업자 대출 등의 채무와 관련된 위험이 늘어나면 해당 업종의 대출부터 부실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말 기준 저축은행(46조원)과 여전사(74조8000억원)가 보유한 가계취약 부문의 대출은 해당 업종 전체 가계대출의 78.9%와 64.6%를 각각 차지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