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긱워커 88% “앞으로도 긱워커 하겠다”

중앙일보

입력

긱워커와 근로자의 차이점 [자비스앤빌런즈 '긱이코노미 시대, 당신의 플랫폼은 준비됐습니까?']

긱워커와 근로자의 차이점 [자비스앤빌런즈 '긱이코노미 시대, 당신의 플랫폼은 준비됐습니까?']

음식배달 라이더, 배송 등 플랫폼에서 일감을 받아 초단기로 일하는 긱워커(수요에 따라 단기간 일하는 노동자)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무슨 일이야  

21일 세무플랫폼 자비스앤빌런즈와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코리아가 공동으로 펴낸 ‘금융의 미래: 긱이코노미 시대, 당신의 플랫폼은 준비됐습니까?’에 따르면 국내 긱워커 중 88%가 “앞으로도 긱워커로 일하기를 원한다”고 답변한 것으로 조사됐다.
설문은 BCG코리아가 한국, 미국 등 12개 국가에서 총 1만 136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한국은 조사 대상 12개국 중 긱워커로 계속 일하겠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 다음으로는 인도네시아(79%), 스웨덴(77%) 순이었다. 세계 평균은 70%였고 프랑스가 56%로 가장 낮았다. 또 계속 긱워커로 일하고 싶다고 답한 국내 긱워커 중 60%는 정규직 직업을 가져도 긱워커 일을 계속 하겠다고 답했다.

자료 : 자비스앤빌런즈 '긱이코노미 시대, 당신의 플랫폼은 준비됐습니까?'

자료 : 자비스앤빌런즈 '긱이코노미 시대, 당신의 플랫폼은 준비됐습니까?'

이게 왜 중요해

긱이코노미는 이미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플랫폼에서 일감을 얻고 경제활동을 하는 이들이 크게 늘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220만명(2021년 고용노동부)이 긱워커와 유사한 플랫폼 종사자다. 취업자(15~69세)의 8.5%다. BCG코리아는 시간제 근로자 등을 포함해 약 1000만명 가량을 한국의 잠재 긱워커로 정의했다. 이번 설문결과는 긱워커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는 의미. BCG 코리아는 “긱워커가 잠깐 나타났다 곧 사라질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국내 노동시장에서 장기적인 근로 형태로 자리잡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종사자가 늘어날 만큼 긱워커를 위한 업무환경 개선도 필요하다. 전업으로 긱워커 일을 하는 이들에게 지난 5년간 근로상황에 대해 묻자 14%가 “악화됐다”고 답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 평균은 8%였다.
BCG코리아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선 일반 근로자와는 다른 긱워커의 업무환경에 맞춘 제도와 플랫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긱워커는 고정된 스케줄에 따라 일정 시간 근무하는 근로소득자와는 달리, 하루 중 본인 재량에 따라 근무 일정과 시간을 조정한다. 또 월급일에 고정 금액을 정산 받는 대신 각각 건별로 정산 받는 금액과 시점이 다르다.
BCG코리아 박영호 파트너는 “긱이코노미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은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트렌드“라며 “그러나 복지혜택과 사회보호 시스템 등 긱워커에 대한 정책이 부족한 만큼 현 근로기준법상 제도의 사각지대에 있는 긱워커의 권리를 보장할 각종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