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음식쓰레기·하수처리장에서 에너지 만든다…138만 가구 전기 공급

중앙일보

입력

당진시 공공하수처리장에 태양광 발전설비. 연합뉴스

당진시 공공하수처리장에 태양광 발전설비. 연합뉴스

하수처리시설, 음식쓰레기 처리장 등 환경시설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가 2030년까지 지금의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정부 계획대로라면 2026년쯤엔 4인 가구 기준 138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기가 환경시설에서 생산된다.

21일 환경부가 발표한 환경시설을 활용한 바이오·물 에너지 2배 확대 청사진에 따르면, 환경시설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2021년 연간 3264GWh에서 2026년 5764GWh로 확대된다. 4인 가구 기준으로 연간 138만 가구가 쓸 수 있는 전력 규모다. 2030년엔 환경시설에서 생산되는 에너지가 현재의 두 배 이상인 8762GWh가 된다. 이 계획이 실현되면 환경시설은 에너지 사용량보다 생산량이 많은 에너지 순공급 시설이 된다.

현재 전국의 환경시설 1341곳은 에너지 다소비 시설로 분류된다. 석탄발전소 2기가 연간 공급해야 하는 7625GWh의 에너지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정부는 2026년 이내에 전국의 환경시설 에너지 생산 가능 설비 용량을 현재 1.57GW에서 약 2배인 3GW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환경시설은 음식물 등 폐자원처리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 110곳, 광역 정수장 43곳, 지자체 운영 정수장 473곳, 500t 이상 공공 하수처리시설 678곳, 댐 37곳 등이 있다.

환경시설에 마련된 바이오가스 저장조. 환경부

환경시설에 마련된 바이오가스 저장조. 환경부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곳은 음식쓰레기, 하수 찌꺼기, 가축분뇨 등을 처리하는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이다. 특히 음식쓰레기는 그동안 90% 이상이 사료나 퇴비로 처리됐지만, 앞으로는 절반 이상이 바이오가스 생산에 투입된다. 정부는 예산을 우선적으로 지원해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현재 110곳에서 140곳으로 늘려 국내 도시가스 공급량의 약 2% 수준을 대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1812억 원의 액화천연가스 (LNG) 수입대체 효과뿐만 아니라 연간 110만t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다는 게 환경부의 설명이다.

정수장, 하수처리시설, 댐 등 물관리 환경시설의 에너지 설비 투자도 두 배 가까이 늘어난다. 투자 대상은 수상 태양광과 수열 에너지다. 환경부는 수상태양광 효율이 높은 모듈을 적용한다는 가정에 따라 설비용량이 1.1GW까지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물의 온도 차를 이용하는 수열 에너지도 추가 발굴해 전체 설비 용량이 2.9GW까지 늘어나면 연간 4735억원의 전력 대체 효과와 70만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만 생산된 재생에너지를 소비자들에게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지가 숙제다. 특히 환경시설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엔 65% 메탄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와 황 등 여러 물질이 섞여 있다. 또한 기피시설인 환경시설이 대체로 거주지역과 거리가 멀어 가스 운반도 쉽지 않다. 태양광, 수열의 경우 설비 효율 발전이 더딜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오영민 환경부 재생에너지티에프(TF) 과장은 "바이오가스를 정제해 도시가스로 공급하고 있는 시설이 이미 있다. 태양광, 수열 등은 현재 적용 가능한 기술만으로도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