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권력형 침묵’ 끝낸 윤 대통령의 도어스테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며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40여 일간 17차례…기자 질문이 곧 민심

윤 대통령도 신중·정제된 언어 구사하길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까지 40여 일간 17차례 기자들과 출근길 즉석 문답(도어스테핑)을 했다. 전임자가 5년간 11차례 기자회견을 하면서 시나리오·질문지·편집이 없는 3무(無) 회견을 했다고 자랑했던 걸 떠올리면 격세지감이 들 정도의 변화다. 청와대란 구중궁궐에서 나와 ‘용산 대통령 시대’를 연 취지를 잘 살렸다. 국민과 소통하고 참모 뒤에 숨지 않겠다던 약속을 지키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한다.

그간 70여 건의 질문이 있었다. 한·미 정상회담이나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화물연대 파업 등 일상적 현안뿐 아니라 자질론이 제기된 장관 후보자의 임명 여부, 검찰 출신의 중용 문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양산 사저 인근 시위뿐 아니라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공개 행보 논란 등 윤 대통령으로선 부담스러운 내용도 포함됐다. 한마디로 기자들의 질문 형태로 전달된 민심이라고 할 수 있다. 윤 대통령이 청와대에 있었더라면 도어스테핑을 하기로 결정하지 않았더라면 바로 마주하기도 직접 듣기도 어려웠을 내용이다. 역대 대통령들이 민심과 멀어지면서 어려움에 처했다는 걸 고려하면, 도어스테핑이 윤 대통령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윤 대통령은 대부분의 질문을 외면하지 않고 특유의 진솔한 화법으로 답해 왔다. 근래엔 비교적 상세하게 의중을 밝히기도 한다. 그 덕분에 국민도 대통령의 의도를 확실히 알 수 있게 됐다. ‘비밀주의’와 ‘전언(傳言) 정치’로 인한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다만 윤 대통령의 직설·즉흥적 답변 스타일이 종종 오해나 논란을 낳는 건 아쉬운 대목이다. 양산 사저 시위에 대해 윤 대통령이 “대통령 집무실도 시위가 허가되는 판”이라고 한 게 시위 묵인으로 이해됐던 게 한 예다. 대통령실에서 이미 시위자들에게 자제를 요청했다고 한다. 결국 당시 발언은 ‘집회의 자유’를 뜻한 원론적 언급이었고 시위 자체는 우려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진의 전달이 제대로 안 됐다는 얘기다.

발언 자체가 통합과 배려, 포용과 거리가 있는 경우도 있었다. 야당의 정치보복 주장에 대해 “정권교체가 되면 과거 일부터 수사가 이뤄지고 좀 지나면 현 정부 일에 대해 수사가 이뤄지는 것이지, 민주당 정부 때는 안 했느냐”고 반문한 것이나, 검찰 중용에 대해 “과거엔 민변 출신으로 도배했다”고 반박한 것 등이다. 김건희 여사 논란에 대해 “대통령을 처음 해보는 것이기 때문에”란 단서를 단 것도 적절치 않았다.

다시 말하지만 도어스테핑은 대통령들의 ‘권력형 침묵’에 종지부를 찍은 역사적 변화다. 윤 대통령만이 아닌, 이후 대통령도 따라야 할 전통이 되길 바란다. 그러기 위해선 윤 대통령이 제대로 해내야 한다. 한마디 한마디에 신중하고 절제된 언어를 구사해 불필요한 논란을 피하는 지혜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