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엔화의 추락' 日은행 마이웨이…아시아에 위험한 진짜 이유 [뉴스원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스 ONESHOT’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의 본점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일본 도쿄에 있는 일본은행의 본점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일본은행(BOJ)의 ‘마이웨이’는 진행형이다. 미국과 영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며 긴축의 고삐를 세게 당기고 있지만, 일본은행만 ‘나 홀로 저금리’를 고수하고 있어서다.

일본은행은 지난 16~17일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를 동결(-0.1%)하고 수익률곡선통제(YCC) 정책도 유지하기로 했다. YCC는 특정 국채 금리를 일정 수준에 묶어 두기 위해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동원하는 초완화적인 통화정책 수단이다. 일본은행은 10년물 국채금리 변동 허용 폭 상한을 0.25%로 유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본은행은 올해에만 12차례 무제한 국채 매입에 나섰다. 지난 14일에는 사상 최대 규모(2조2000억엔)를 매수했다.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일본은행 총재는 “(10년물 국채금리 방어선을 인상하면) 금융 완화 효과가 약해진다”고 밝혔다.

거세지는 각국 중앙은행의 긴축 행보 속 일본은행의 이런 흔들리지 않는 한결같음은 시장의 불안을 자극하고 있다. 24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진 엔화가치 때문이다.

엔화값은 그야말로 자유낙하 중이다. 지난 13일 엔화값은 달러당 135.6엔까지 미끄러져 내렸다. 1998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엔화가치는 올해에만 14%, 최근 1년 사이 약 19%가량 하락했다. 주요 10개국(G10) 통화 중 약세 폭이 크다.

엔화가 이처럼 맥을 못 추는 건 일본과 미국의 통화정책 디커플링(탈동조화) 심화에 따른 것이다. 돈줄을 여전히 열어둔 일본은행과 달리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올해 들어 세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5%포인트 인상했다. 그 결과 미국과 일본의 금리 차가 확대되며 엔화 약세 압력은 더 커지고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 [중앙포토]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BOJ) 총재 [중앙포토]

때문에 엔화값 방어를 위해 일본은행이 통화정책 방향의 미세 조정에 나설 수 있다는 시각도 있었지만, 기대는 여지없이 무너졌다. 구로다 총재는 “임금 상승을 이어가기 위해 금융완화를 끈기 있게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은행 금융완화와 엔저로 투자를 늘리고, 기업 실적 개선을 통한 임금 인상과 소비 확대로 물가가 오르는 선순환을 기대하고 있다. 물가는 2% 초반에 턱걸이한 만큼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부담도 다른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문제는 엔저가 시장의 위험을 키운다는 데 있다. ‘아시아 금융위기’의 재현 가능성에 대한 목소리도 나온다. 영국 채텀하우스의 시니어 고문인 짐 오닐은 최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엔화 가치가 달러당 150엔 수준까지 떨어지면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수준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 당국이 위안화 약세에 나서고, 연쇄적 움직임을 불러올 수 있단 이야기다.

그는 “일본의 통화완화 정책과 미국의 긴축으로 금리가 뛰며 엔화 약세가 이어지면 이는 중국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중국은 자국 경제를 위협하는 다른 통화의 약세를 원치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은 (엔화 약세를 일본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불공정한 것이라고 판단할 것”이라며“자국 경제 보호를 위한 외환 시장 개입을 이성적으로 여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당시 미국과 일본은 위안화 평가 절하에 따른 아시아 국가의 통화가치 하락을 막기 위해 중국에 위안화 평가 절하를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중국은 위안화 하단을 고정(페그)해 위안화 가치를 유지하며 역내 큰 형의 면모를 보였다.

엔화 약세는 한국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강재현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합도가 과거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한국과 일본은 수출품에 있어서 경쟁 관계에 있는 데다 (각국) 중앙은행의 유동성 회수는 글로벌 수요를 둔화시킬 수 있다"며 "(수출 가격 경쟁력마저 약해지게 하는) 엔저 지속은 한국에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 4월 발표한 한국과 일본의 수출경합도 지수(지난해 기준)는 자동차 분야 90.3, 기계 63.4, 반도체 60.7 등이다. 수출경합도 지수는 특정 국가에 상품을 수출하는 두 나라의 수출 구조가 얼마나 비슷한 지를 분석에 두 나라의 경쟁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다. 지수가 100에 가까울수록 경쟁도가 심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