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과를 마친 병사들이 통화와 문자메시지 전송, 인터넷 강의 시청 등 자유롭게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 기사 본문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공동취재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7/7f1a8445-a7a7-4068-9091-ebed9aad4bfe.jpg)
일과를 마친 병사들이 통화와 문자메시지 전송, 인터넷 강의 시청 등 자유롭게 휴대전화를 사용하고 있는 모습. 기사 본문 내용과 관련 없음. [사진공동취재단]
국방부가 병사의 휴대전화 소지 시간 확대를 위한 시범운영을 시행한다.
17일 국방부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휴대전화 소지 시간 확대 시범사업을 오는 20일부터 시작해 올해 12월31일까지 약 6개월간 시범운영한다고 밝혔다.
기존에는 평일 일과 후 시간(18시~21시), 휴일 8시 30분~21시에만 병사의 휴대전화 사용이 허용됐다.
하지만 이번 시범 사업에서는 ‘최소형’, ‘중간형’, ‘자율형’ 세 유형으로 나눠 소지 시간 범위를 확대하고, 임무 수행과 보안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할 방침이다.
현역병의 경우 최소형은 아침 점호 이후부터 오전 8시30분까지, 일과 이후(17시30분)부터 21시까지 휴대폰을 소지할 수 있다. 중간형은 아침 점호 이후부터 21시까지 소지할 수 있고, 자율형은 24시간 소지할 수 있다.
훈련병의 경우 입소 1주차 평일 30분, 주말 및 공휴일은 1시간 휴대폰을 사용하는 ‘최소형’과, 입소기간 중 평일 30분, 주말 및 공휴일 1시간 휴대폰을 사용하는 ‘확대형’으로 운영된다.
이번 시범 운영은 각 군별 2~3개를 대상으로 시행된다.
국방부는 “시범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휴대전화 소지시간 확대 범위와 보완해야 할 사항 등을 마련한 후 소지시간 확대를 추진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장병 소통여건 개선과 생산적 복무여건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