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5년 동안 '탈원전'을 외쳤지만 원자력 발전소에서 대기와 해양으로 배출하는 방사성 물질의 양은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과 2021년을 비교했을 때 국내 원전의 전체 발전량은 2.5% 줄었지만, 방사성 물질 배출은 오히려 11.4% 증가했다.
15일 한국수력원자력(주)에서 발간한 '2021년 원자력발전소 주변 환경방사능 조사 및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원전에서 대기와 해양으로 배출한 방사성 물질은 방사능으로 따져 모두 402조1000억 베크렐(Bq, 방사능 단위)에 해당한다. 대기로 배출된 것이 171조5000억 베크렐, 바다로 배출된 것이 230조6000억 베크렐이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기 전인 2016년의 총배출량 360조8000억 베크렐과 비교하면 11.4%가 늘어난 것이다.
특히, 바다로 배출한 양은 277조 베크렐을 배출한 2012년 이후 가장 많은 양이다.
반면 국내 원전의 전체 발전량은 2016년 16만1995 기가와트시(GWh, GWh=100만kWh)에서 지난해 15만8015 GWh로 2.5% 줄었다. 전체 전력 생산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6년 30%에서 지난해 27.4%로 2.6%포인트 감소했다.
원전별로는 월성원전이 대기 115조 베크렐, 해양 71조1000억 베크렐 등 186조1000억 베크렐을 배출해 지난해 전체 배출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한수원 측은 24개 원자로를 운영하는데, 원자로마다 그때그때 운전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방사성 물질 배출량이 증가한 이유를 일률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한수원 관계자는 "원전 가동률과 발전량 외에도 계획 예방 정비와 설비 점검, 기타 작업 등 변수가 많기 때문에(그에 따라 발생하는 기체·액체 방사성 폐기물의 양도 달라지기 때문에) 단순히 가동률이나 발전량만으로 방사성 물질 배출이 많고 적음을 판단하기는 어렵다"며 "한수원에서는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기·해양으로 방사성 물질이 배출될 때 크게 희석해서 배출하기 때문에 실제 지역 주민 등이 노출되는 방사선은 미미하다는 게 한수원의 입장이다. 또 배출되는 방사성 물질도 대부분 반감기가 12.3년으로 짧은 삼중수소(3H)라고 설명했다.
해양으로 배출하는 경우 원전의 냉각수에 섞어 배출하는데, 원전별로는 L당 연평균 1.7 베크렐(한빛)에서 10.5 베크렐(월성) 수준으로 배출하고 있다. 방사성 물질 배출관리 기준인 4만 베크렐/L보다는 매우 낮은 편이다.
한편,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사고가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는 모두 126만㎥의 오염수를 보관 중인데, 여기에는 총 860조 베크렐의 방사성 물질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원전 측은 이 오염수를 내년 봄부터 관리기준인 6만 베크렐/L보다 낮은 1500베크렐/L로 희석해 1㎞ 길이의 해저터널을 통해 바다에 방류할 계획이다. 방류는 30년에 걸쳐 진행될 전망이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는 스트론튬, 요오드 129, 세슘137, 탄소14 등의 고위험 방사성 물질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에서는 "도쿄전력이 다핵종제거설비(ALPS) 기술로 처리했지만,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했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