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전남 고흥의 나로우주센터 발사체조립동에서 누리호가 발사대 이송용 차량에 옮겨지고 있다. [사진 항우연]](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6/14/99046b59-01b1-45ba-a085-3ca17091be82.jpg)
13일 전남 고흥의 나로우주센터 발사체조립동에서 누리호가 발사대 이송용 차량에 옮겨지고 있다. [사진 항우연]
누리호 2차 발사 일정이 강풍으로 하루 연기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4일 오전 6시 비행시험위원회, 7시 발사관리위원회를 열고 누리호의 이송과 발사를 당초 계획보다 하루씩 연기한다고 밝혔다. 추가 일정 변경이 없다면 누리호 2차 발사를 위한 이송 작업은 15일에, 실제 발사는 16일에 이뤄질 예정이다.
이송 땐 비ㆍ바람, 발사 땐 바람ㆍ낙뢰 중요
누리호를 발사대까지 이송할 때 고려하는 요건과 실제 발사·비행에 가장 중요한 조건은 다르다. 장영순 항우연 발사체책임개발부장은 “발사대로 이송하는 준비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실제 작업자들의 안전”이라며 “비가 오거나 바람이 부는 기상 상황이 가장 큰 우려 조건”이라고 설명했다.
발사 당일 기상 상황도 중요하다. 누리호 발사 기상 조건 중 지상풍 기준은 이송ㆍ설치ㆍ발사 시 평균 풍속이 초속 15m가 넘지 않고, 순간최대풍속이 초속 21m를 넘지 않아야 한다. 누리호를 이렉터에 고정하는 작업을 할 때는 평균 풍속이 초당 18m, 순간최대풍속이 25m를 넘지 않아야 한다. 장 부장은 “실제 비행에는 10~20㎞ 사이에서 부는 고공풍이 발사체에 큰 영향을 주고 낙뢰나 번개가 있는지도 잘 따져서 발사를 결정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날 누리호 발사장이 위치한 전라남도 고흥에는 평균풍속 초속 8~12m의 바람과 5㎜ 내외의 약한 비가 예보됐다. 오전 9시 현재도 바람은 상당히 강하게 불고 있다. 초속 8~12m의 바람 자체도 상당한 강풍이지만 이 예보는 지상 10m가 기준이다.
길이 47m가량의 누리호를 수직으로 세우고, 발사체에 엄빌리컬 타워(발사체에 전기와 추진체 등을 공급하는 구조물)를 연결해야 하는데, 이 작업은 사람이 직접 올라가서 해야 한다. 이때 작업자의 높이가 대략 40m 이상이다. 이 정도 높이에서는 지상 10m 예보 기준보다 훨씬 강한 바람이 불어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는 게 항우연 측의 설명이다.
추가 연기 가능성은
현재 항우연은 기상 변수가 없다면 15일 이송, 16일 발사는 가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박중환 기상청 예보관은 “15일은 고흥 부근에 영향을 미치던 저기압이 동쪽으로 빠져나가는 형태로 바람도 오늘보다 약해지고 강수도 다소 괜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다만 내륙 쪽에서 찬 공기가 내려와 소나기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 박 예보관은 “소나기는 변동성이 커 기상청에서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발사 예정일인 16일은 기상 상황이 좀 더 나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 관계자 역시 “날씨 돌발 변수가 없다면 누리호의 이송과 발사는 한 차례 연기된 15일과 16일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누리호의 발사 예비일은 16일부터 23일까지로 잡혀 있다. 장영순 부장은 “14일 저녁쯤 기상 예보 등을 함께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