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마산 청주’ 명성 잇는 전통주, 창원에서 부활 꿈꾼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20면

“(위암 장지연 선생이) 병원에서 작고하기까지 시국을 개탄하며 아침부터 취침할 때까지 술로써 울분을 토했다.”

옛 경남 마산의 언론인 김형윤(1903~ 1973)이 기록한 『마산야화』 속 내용이다. 그는 일제강점기 우국지사인 위암 장지연(1864~1921)의 말년에 대해 이렇게 썼다. 위암은 1905년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을 통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알린 후 경남 진주에서 경남일보 주필을 지내다 마산에 왔다. 당시 기록에는 “(위암이) 술을 수정(마산 수성동) 석교양조장에서 판매한 대전청주를 두주(斗酒·말술)로 비치했다”는 내용이 나온다. “거나하게 취하면 (일본인들을 향해) ‘개 같은 놈들…’을 연발했다”라고도 썼다. 위암이 마산에서 생산된 청주를 ‘말술’로 가져다 놓고 온종일 마시며 시국을 개탄했다는 내용이다.

위암 장지연 선생, 망국의 한 청주로 달래

1905년 옛 경남 마산에 들어선 석교 양조장. [사진 허정도 경남도 총괄건축가]

1905년 옛 경남 마산에 들어선 석교 양조장. [사진 허정도 경남도 총괄건축가]

망국의 한을 술로 달래던 위암 선생이 청주를 말술로 들일 수 있었던 데는 마산의 당시 상황과 연관이 깊다. 일제강점기 당시 마산은 청주와 간장 등을 만드는 양조업이 크게 번성했다. 일본인들이 1889년 개항 후 좋은 물과 쌀, 기후를 갖춘 마산에 술과 간장 공장을 세운 게 시작이다. 마산의 첫 청주 공장은 1904년 일본인이 세운 아즈마 양조장이다. 이후 1920년대에는 10개가 넘게 들어섰다. 1928년 마산의 12개 청주공장에서 1만1000석(1석=15말, 198만ℓ)의 청주를 생산해 국내 1위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주도(酒都·술의 도시)’로 불린 마산의 술은 당시 한반도를 넘어 만주까지 명성을 떨쳤다. 당시 일본인들 사이에선 ‘조선의 나다주(朝鮮灘酒)’로 통할 정도였다. 나다자케는 일본 고베시 효고(兵庫)현 나다(灘)지방의 최고급 전통술을 말한다. 마산에서 20여년간 신문기자로 일한 일본인 스와 시로가 1926년 쓴 『마산항지』에는 “마산에서는 13개 양조업자가 향기 좋은 나다(灘)의 술과 맞먹는 명주를 양조하고 있다”며 “조선 내는 물론 멀리 만주까지 수출하여 ‘조선의 나다주’로 불리며 크게 명성을 드날리고 있다”는 내용이 나온다. 그는 “풍미에서는 마산의 것이 나다 청주를 능가하는 것이 있으니”라며 마산 청주를 추앙하기도 했다.

일본 최고급 전통술 나다자케와 비교돼

1937년 마산부에서 만든 ‘관광의 마산(觀光の馬山)’ 리플렛 표지. [사진 창원시립마산박물관]

1937년 마산부에서 만든 ‘관광의 마산(觀光の馬山)’ 리플렛 표지. [사진 창원시립마산박물관]

국내 청주 1위 생산지인 ‘주도’ 마산의 명성은 오래 가지 못했다. 해방 후 막걸리보다 비싼 청주를 찾는 수요가 줄어든 데다 1973년에는 정부의 통폐합 조치까지 맞물렸다. 옛 마산의 거리와 풍경을 담은 저서 『도시의 얼굴들』를 쓴 허정도 경남도 총괄 건축가는 “10개가 넘던 마산의 청주공장 중 백광양조장이 문을 닫으면서 청주의 명성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고 했다.

그렇지만 주류업계나 전문가들은 “마산이 일본식 청주로 유명해진 일제강점기 이후 우리 전통주가 이른바 ‘잃어버린 100년’을 겪었다”고 말한다. 1909년 일제에 의해 주세법이 제정되면서 가양주(家釀酒)에 세금을 부과한 게 시작이다. 조선시대 각 가정에서 술을 빚던 가양주에 세금을 물리자 수백종에 달했던 전통주가 크게 위축됐다. 이후 1916년 조선총독부가 주세령을 실시, 가양주에 대해 면허를 받도록 통제하면서 가양주 제조는 사실상 명맥이 끊긴다. 이는 당시 술을 일본주와 조선 주로 나눈 것도 전통주가 사라지게 된 원인도 됐다. 일제가 탁주와 약주는 조선술로, 청주는 일본 술로 분류하면서 마치 청주는 일본의 것으로 인식되게 했다.

경남 창원의 전통주 공방 ‘전통주 이야기’에서 항아리에 담긴 우리 전통주가 발효되고 있다. 안대훈 기자

경남 창원의 전통주 공방 ‘전통주 이야기’에서 항아리에 담긴 우리 전통주가 발효되고 있다. 안대훈 기자

일본이 물러간 후에도 가양주나 전통주의 쇠락은 계속됐다. 해방 후 6·25 전쟁 등에 따른 식량난 때문에 밀주 단속이 이어졌고, 1965년에는 ‘양곡관리법’이 발표되면서 밀주 단속이 더 강화됐다. 이런 가양주 금지 정책은 1995년에야 사라졌다. 박록담 한국전통주연구소장은 『한국의 전통명주 1 - 다시 쓰는 주방문』을 통해 ‘지난 80년간의 세월은 그간 단절되었던 가전 비법의 가양주를 되살리기엔 너무나 긴 세월이었다’고 했다.

각종 규제로 전통주  ‘잃어버린 100년’ 겪어

‘명주(銘酒)’라고 적힌 일본풍 술통이 눈에 띈다. 당시 술을 저장·운반할 때 사용하는 용기인 ‘술춘’에 ‘마산주(馬山酒)’라고 적혀 있다.

‘명주(銘酒)’라고 적힌 일본풍 술통이 눈에 띈다. 당시 술을 저장·운반할 때 사용하는 용기인 ‘술춘’에 ‘마산주(馬山酒)’라고 적혀 있다.

지금 마산(현 창원)에는 한때 만주대륙까지 명성을 떨쳤던 청주는 물론이고 지역의 전통술이 남아있지 않다. 지난 4월 ‘창원의 술 뿌리를 찾아서’라는 부제로 ‘제1회 창원 전통주 대회’가 열린 이유다. 대회는 여러 참가자가 각자의 전통 방식으로 빚은 술을 출품해 경합을 벌였다. 이 대회는 창원의 전통주 공방인 ‘전통주 이야기’ 허승호 대표가 주최했다. 허 대표는 한국 전통주의 대부로 불리는 박록담 소장을 비롯해 전통주 장인들을 찾아 서울, 전라도, 충청도 돌아다니며 전통주 부활에 힘써왔다.

앞서 2019년 그는 “일제강점기에 잃어버린 우리 술 ‘청주’의 이름을 되찾자”는 서명운동을 주도하기도 했다. 허 대표는 “본래 청주는 우리 조상들이 썼던 말인데, 일제가 자기들 술인 ‘사케’를 청주로 한정하고, 우리 술을 ‘약주’라고 규정해버린 영향이 지금도 이어진다”고 말했다. 또 “일본 청주와 우리 청주는 누룩이 다르기 때문에 맛과 향에서 차이가 있다”고 했다. 그는 “일본은 인공적으로 특정 효모만 키우는 배양 누룩을 써 깔끔한 맛이 장점일 수 있지만 일정하고 단조롭다”며 “우리는 자연산 천연 누룩을 써 맛이 다양하고 풍부한 게 특징”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