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쉽게 피로, 구토 나면 의심하세요…9년전 2배로 늘어난 이 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부산광역시 범일연세내과 이동형 원장(오른쪽)이 당뇨병 환자에게 혈액 투석 치료를 하고 있다. [범일연세내과의원 제공] 기사 내용과 연관 없음.

부산광역시 범일연세내과 이동형 원장(오른쪽)이 당뇨병 환자에게 혈액 투석 치료를 하고 있다. [범일연세내과의원 제공] 기사 내용과 연관 없음.

신장이 스스로 기능을 할 수 없어 투석하거나 이식이 필요한 말기신부전 신규 환자 수가 지난해 9년 전과 비교해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고령화되고 당뇨병 환자가 증가한 게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9년 전의 2배, “고령화·당뇨병 환자 증가 영향” 

건보공단이 8일 공개한 말기신부전 신규 발생자 수. [공단 제공]

건보공단이 8일 공개한 말기신부전 신규 발생자 수. [공단 제공]

9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12~2021년 말기신부전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새롭게 발생한 말기신부전 환자는 1만1480명으로 전년(1만1047명)보다 3.92% 늘었다. 9년 전인 2012년 신규 환자 수가 5212명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배 이상으로 많아졌다.

말기신부전 진료를 받는 전체 환자도 늘어 지난해 진료 인원은 7만6281명으로 집계됐다. 9년 전(5만156명)보다 1.5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연평균 증감률은 4.8%로 성별로 보면 남성이 5.3%, 여성이 4% 증가했다.

말기신부전 환자 절반 이상은 60대 이상 고령층이었다. 지난해 말기신부전 진료 인원 7만6281명 중 70대 이상이 35.1%(2만6759명)으로 가장 많고 60대가 29.1%(2만2229명), 50대가 21.4%(1만6343명), 50대 미만이 14.4%(1만950명) 순이었다. 9년 전 대비 증감률을 보면 50대 미만은 6.1%(713명) 감소했지만 70대 이상은 117.7%(1만4469명) 증가했다. 환자가 늘어나면서 진료비도 지난해 2조1647억원을 기록해 9년 전(1조2019억원)보다 80.1%(9628억원) 증가했다.

건보공단 측은 환자가 급증한 배경에 대해 “급속한 인구 고령화와 당뇨병 환자의 증가로 말기신부전 환자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건보공단이 8일 공개한 말기신부전 신규 발생자의 기저질환율. [공단 제공]

건보공단이 8일 공개한 말기신부전 신규 발생자의 기저질환율. [공단 제공]

이런 환자들은 고혈압이나 당뇨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발생한 신규 말기신부전 환자 중 46.9%는 당뇨병을, 36.5%는 고혈압을 앓았다. 당뇨와 고혈압을 같이 가지고 있는 환자는 15.32%였다.

“피로하고 구역, 구토 있으면 의심”

이상일 건보공단 급여상임이사는 “중증난치질환자 산정특례 대상인 만성신부전증 환자의 경우 본인 부담률을 경감해 주고 있지만, 완치가 어려워 평생 건강관리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있다”라며 “특히 말기신부전은 특별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렵고, 고혈압·당뇨병 등 기저질환의 영향이 커서 65세 이상 노인 인구에서 각별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홍유아 가톨릭 의대 대전성모병원 신장내과 교수(대한신장학회 소속)는 주요 증상과 관련해 “신장 기능이 정상의 20~30% 이하가 되면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는데, 노폐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요독 증상이 발생하면 쉽게 피로하고, 식욕이 없으며, 구역이나 구토가 동반되고, 가려움증이 발생한다. 또 빈혈이 나고, 혈압 조절이 잘 안 될 수 있고, 부종이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예방법과 관련해서는 “신장은 한번 나빠지면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약물치료와 식이요법으로 신장기능이 나빠지는 것을 최대한 늦춰야 하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하여 신장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염분을 적게 섭취하고 단백질을 제한하는 것이 신장 기능의 유지에 도움을 준다”라며 “신장기능이 저하될수록 나트륨, 칼륨, 인, 단백질의 섭취를 제한하고 조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