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재명 전대 출마 무게…민주당 내부 “당대표 권력 나누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8일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8일 국회에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등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경록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8월 전당대회 출마에 무게가 실리면서, 당대표 선출 방식을 둘러싼 친명(친이재명)계와 반명(반이재명)계 간 공방 전선이 확대되고 있다.

그동안은 대의원 투표 비중을 줄이고 ‘개딸(개혁의 딸)’ 등 권리당원 비중을 늘이는 방안을 놓고 찬성(친명)·반대(반명) 논쟁을 벌여왔지만, 지도체제에 대해서도 공방이 벌어질 조짐이다. “7일 의원총회에서 상당수 의원들이 현행 단일지도체제를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게 복수의 민주당 의원들의 설명이다.

지도체제 공방의 핵심은 당대표가 당권을 독점하는 것이 옳으냐는 것이다. 현재 민주당은 단일지도체제 원칙에 따라 당대표와 최고위원 선거를 분리해 실시하고 있다. ‘메이저리그’에서 선출된 당대표가 사실상 당권을 독점하는 구조다. 반면 모든 후보들이 한꺼번에 경쟁해 득표 순서대로 대표와 최고위원을 맡는 집단지도체제에서는 모든 계파수장이 지도부에 입성할 가능성이 크다.

현행 단일지도체제는 친문이 확실한 당주류로 부상했던 2013년 전당대회 이후 유지돼 왔다. 지도체제가 변경될 경우 지난 9년간 이어져온 문재인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한 당권 독점 체제가 종결되는 의미가 있다.

박홍근 원내대표 겸 당대표 직무대행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당이 위기 상황이기 때문에 충분히 논의해 검토해야 한다. 전당대회 준비위원회가 논의해 접근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와 관련 “강한 차기 대선 후보와 계파가 존재할 때는 단일지도체제에 대한 불만이 적지만, 확실한 구심체가 사라지면 집단지도체제로의 전환 논의가 반복돼 왔다”고 설명했다.

수도권 초선의원은 “차기 대표는 2024년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할 가능성이 크고, 확실한 원톱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모든 계파가 어떻게든 지도부에 스스로 입성해야 한다는 절박감을 갖고 있다”고 했다. 당내에선 “집단지도체제가 되면 친명, 친문은 물론 처럼회 등 강경파 그룹를 포함한 모든 계파가 독자 후보를 낼 것”이란 관측이 많다.

다만 대의원·권리당원의 투표 비율 논란과 달리 지도체제 전환 문제에 대해서는 친명·반명 진영 모두 명확한 찬반 입장을 내지는 않았다. 친명으로 분류되는 조응천 의원은 7일 인터뷰에서 “이 의원이 대표로 나서더라도 원트랙(집단지도체제)로 가야 반대쪽도 극렬한 저항이 덜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친문 정태호 의원도 통화에서 “어떠한 체제가 보다 효율적인가라는 관점에서 계파 이익을 떠나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집단지도체제가 갈등을 오히려 격화시킬 거란 우려도 있다. 친문 중진 의원은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2010년 손학규·정동영·정세균 세명이 당권을 분점했을 때 1번 타자(손 대표)가 얘기하면 2번 타자(정 최고위원)가 들이받고 대표가 서류를 집어던지고 나가는 일이 365일 반복됐다”며 “당이 또다시 ‘봉숭아학당’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친명계 재선 의원도 “집단지도체제는 계파별 공천 나눠먹기에 가깝기 때문에 총선을 앞두고 갈등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대위 참여 인사들 사이에서도 “역사적 산물을 계파적 이해관계 때문에 임의로 변경하자는 것은 말도 되지 않는다”(우상호 의원) “된다, 안 된다는 결론을 미리 내놓을 필요가 없다”(한정애 의원)는 의견이 엇갈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