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금감원장까지, 더 나와선 안돼”…‘검찰 편중’에 여당 내서도 우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딱 금감원장까지만이다. 더 나와서는 안 된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이 8일 기자들과의 식사 자리에서 한 말이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이 이복현 전 검사를 금융감독원장에 임명하자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검찰 편중 인사에 우려 섞인 기류가 고개를 들고 있다.

이날 국민의힘 공보 라인은 야당과 언론의 ‘검찰공화국’ 비판에 무대응으로 일관했다. 더불어민주당이 전날부터 “검찰 편중, 지인 찬스, 마이웨이 인사”(7일), “법치국가가 아닌 검치국가이고, 사정국가”(8일)라며 공식 논평을 쏟아냈지만 국민의힘 대변인단은 맞대응하지 않았다.

관련기사

공개적인 목소리도 나왔다. 하태경 의원은 전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모든 대통령이 다 그렇다. 철저하게 강하게 믿을 수 있는 사람을 중심에 쓸 수밖에 없는 심리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좀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언주 전 의원도 8일 라디오에서 “(검사 출신이) 능력이 있으면 할 수도 있겠다”면서도 “정당과 대통령이 집권을 함께하는 것인데 정치의 부재라든가, 엘리트 관료 중심으로 지나치게 가다 보면 바닥 민심하고 괴리될 수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에 친윤 성향의 국민의힘 지도부는 엄호에 나섰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금감원이 부여받은 고유 기능을 제대로 수행 못 했을 경우 외부 인사를 수혈해 그 부분을 점검하고 개혁할 필요가 있다. 그런 차원에서 공인회계사이자 금융 전문 수사를 했던 이복현 검사를 금감원장에 임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석 의원도 라디오에 나와 “윤 대통령은 정치인 출신이 아니다. 평생 검찰에만 몸담아온 분”이라며 “지금 하는 인사 정책은 그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조금 더 확장하면서 적재적소의 인물을 찾는 과정”이라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