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빚투족' 어쩌나…반대매매 하루 평균 167억, 3년새 2배로 '껑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9일 금융투자협회(금투협)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26일까지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 규모는 하루 평균 167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79억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제공 셔터스톡

29일 금융투자협회(금투협)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26일까지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 규모는 하루 평균 167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79억원)의 2배가 넘는 규모다. 제공 셔터스톡

빚내서 주식 투자에 나선 ‘빚투족’에게 빨간불이 켜졌다. 올해 국내 증시가 부진한 가운데 반대매매 규모가 3년 만에 두 배 넘게 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증권사가 대출(신용거래융자) 금리도 올리고 있어 이자 부담도 커지고 있다.

29일 금융투자협회(금투협)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이달 26일까지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 규모는 하루 평균 167억원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79억원)보다 2.1배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 초기인 2020년 같은 기간(136억원)보다도 많다.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미수거래는 개인 투자자가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을 사고 사흘 후 대금을 갚는 초단기 외상이다. 이때 투자자가 외상으로 산 주식(미수거래)의 결제 대금을 약정한 만기 기간 내 갚지 못하면 증권사는 주식을 강제로 팔아 채권을 회수하는데 이를 ‘반대매매’라고 한다.

월별 추이를 보면 반대매매 규모는 4월부터 눈에 띄게 증가했다. 지난 3월 하루 평균 148억원이었던 반대매매 규모는 지난달 156억원,  이달 26일 기준 171억원으로 늘었다. 이는 올해 국내 증시가 휘청이면서 투자자가 빌린 돈을 갚지 못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27일 종가 기준 코스피(2638.05)는 올해 들어 11.7% 하락했고, 코스닥 지수(873.97)는 같은 기간 15.7% 떨어졌다.

반대매매는 투자자에게 미치는 타격이 크다. 미수거래는 주식을 다 팔아도 빌린 돈을 다 갚지 못해 일명 ‘깡통 계좌’가 될 수 있다. 반대매매 후에도 남아있는 미수 금액에 대해서는 연체 이자를 내야 한다. 시장에도 부담이다. 반대매매가 많아지면 주식 시장에 매물이 한 번에 쏟아지며 증시 하방 압력을 키울 수 있다.

반대매매가 늘고 있음에도 빚내서 투자하는 신용융자 잔고가 20조원을 넘었다는 점도 문제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26일 기준 신용융자 잔고는 21조665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2월 3일 이후 20조원을 웃돌고 있다.

빚투족의 이자 부담도 커지고 있다. 증권사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발맞춰 신용거래융자 금리를 올리고 있어서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투자는 융자 기간 7일 이내의 이자율을 연 4.50%에서 4.75%로 0.25%포인트 올린다. 8∼15일(7.25%)과 16∼30일(7.65%) 이자율도 0.25%포인트씩 높인다.

DB금융투자는 이자율을 전 구간에 걸쳐 0.2%포인트씩 인상하고, 메리츠증권은 신용거래융자 이자율을 0.1%포인트 올린다. 교보증권, 미래에셋증권, 다올투자증권 등은 지난달 신용거래 이자율을 최대 0.2%포인트 올렸다.

한국은행이 올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올릴 계획이어서 연내 신용거래융자 금리가 10%를 넘을 가능성도 있다. 현재 대부분 증권사의 신용거래융자 최고 금리는 이미 9%대까지 올랐다.

한은은 지난해 8월부터 이달까지 열달 동안 금리를 다섯 차례 인상했다. 이 기간 기준금리는 0.5%에서 1.75%로 상승했다. 특히 한은은 물가 중심 통화정책으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하고 있어 시장에선 연말 기준금리가 2.25~2.5%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상당수 전문가는 당분간 증권사의 반대매매가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올해 2~3차례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만큼 단기적으로 지수의 반등은 쉽지 않다”며 “특히 주가가 급락할 때 반대매매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김용구 삼성증권 수석연구원도 “빚투가 몰린 일부 개별 종목에 반대매매가 늘어나면 증시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대매매가 급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의견도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반대매매는 증시 흐름과 연관이 있다”며 “현재 증시는 저점을 지나고 있어 7~8월 반등하면 반대매매도 진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