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원숭이두창, 60대 이상은 상대적으로 안전"…한국선 왜 그럴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원숭이두창(Monkeypox)이 유럽과 미국, 오세아니아와 중동에 이어 남미에도 상륙했다. 아시아를 빼고 전 대륙에서 감염자가 확인된 것이다. 국내 유입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게 됐다. 만약 유입된다면 50대 이하의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란 예상이다. 원숭이 두창과 유사한 천연두를 앓은 적도, 천연두 백신을 맞은 적도 없는 세대이기 때문이다.

영국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27일 아르헨티나에서 남미 첫 원숭이두창 환자가 나온 데 이어 28일엔 멕시코에서도 양성자가 나왔다.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27일 기준 22개국에서 403명의 환자가 확인됐다. 지난 6일 영국서 첫 감염자가 보고된 이후 채 한 달이 지나지 않아서다.

국내에선 29일까지 확인된 사례는 없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유행지역에서 밀접 접촉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원숭이두창에 걸릴 우려는 거의 없다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잠복기가 최대 21일로 긴 편이라 공항 등의 검역에서 발견되기보다 지역사회에서 활동하다 발열, 발진 등 의심 증상이 생겨 확인되는 사례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원숭이두창에 걸린 환자의 모습. AP=연합뉴스.

원숭이두창에 걸린 환자의 모습. AP=연합뉴스.

김 교수는 코로나19처럼 공기 전파가 아닌 만큼 대규모 집단 유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작다고 봤다. 다만 50대 이하는 대부분이 면역력이 없을 것으로 보여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숭이두창과 증상이 유사한 천연두(사람 두창)는 국내에서 1961년 이후로 감염자 발생 보고가 없었다. 60대 이상을 제외한 연령대에선 사실상 천연두에 걸린 적이 없었다는 것으로 자연감염에 의한 면역 역시 없다고 볼 수 있다는 얘기다. 천연두 환자는 1978년 마지막으로 영국에서 보고됐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1980년 '천연두 박멸'을 선언했다.

백신 접종을 통한 인공 면역은 어떤 상황일까.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천연두 백신 접종은 1979년까지만 시행됐다. 권근용 질병청 예방접종관리과장은 “1979년까지 일반인에 접종이 이뤄졌고, 1983년 정기 예방접종 항목에서도 아예 빠졌다”며 “1979년생(현재 43세) 이후로는 백신 접종이 없었다고 봐도 될 것이고, 자연 감염됐을 가능성도 희박하다”고 했다. 김우주 교수는 “백신 접종이 3차(1차는 2~6개월, 2차는 5세, 3차는 12세)에 걸쳐 이뤄지는데, 60세 이상은 천연두 백신을 대부분 3차까지 맞았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1979년 이전 태어난 40대 중후반까진 최소 한 차례 이상 접종했겠지만 1980년 이후 출생자들은 1차 접종조차 안 받았을 가능성이 크단 얘기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최근 한 방송에 출연해 “외국 사례를 보면 20% 정도 항체를 보유하고 있고 80%는 없다는 얘기가 나온다”고 말했다.

원숭이두창 원인 바이러스는 천연두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와 항원성 등이 상당 부분 겹친다. 이 때문에 천연두 백신을 맞으면 85% 정도 예방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교수는 “이런 효과는 최근 개발된 3세대 백신인 임바네스(미국명 진네오스)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 우리가 과거에 쓴 두창 백신에 그대로 대입하긴 어렵다”면서도 “85% 교차 방어가 된다고 했을 때 고령자에겐 상당수 항체가 남아 있어 걸린다 해도 약하게 앓고 지나갈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고 했다.

접종 효과가 얼마나 지속하는 지는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김 교수는 “천연두가 디옥시리보핵산(DNA) 바이러스라 돌연변이가 나올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인수공통감염병도 아니라 1980년에 근절이 가능했다”라며 “비교적 안정적인 바이러스라 세 차례 접종했다면 거의 평생 면역 수준에 가깝도록 오랜 시간 보호 효과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과거 서울 한 보건소에서 천연두 접종을 하고 있는 어린이 모습. 중앙포토

과거 서울 한 보건소에서 천연두 접종을 하고 있는 어린이 모습. 중앙포토

천연두 백신은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진 특수 바늘을 사용해 여러 번 찌르는 방식으로 접종한다. 흔히 ‘불주사’라 불리는 BCG(결핵예방백신)와 혼동하기도 한다. BCG는 피내용, 경피용 두 종류로 피내용은 피부에 15도 각도로 주삿바늘을 넣어 백신을 주입한다. 경피용은 피부에 주사액을 바른 뒤 9개 바늘을 가진 주사 도구를 이용해 두 번에 걸쳐 눌러 접종한다. 반면 천연두는 3초에 15번 바늘을 찌른다. 중단된 천연두 백신 접종과 달리, BCG는 현재도 생후 4주 미만 신생아에 접종을 권고하고 있다.

김우주 교수는 “미국, 영국 등에선 확진자의 밀접 접촉자에 4일 이내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며 “국내서도 전 국민에 접종할 이유는 없지만, 노출 후 예방 목적의 접종이 필요할 테니 개량된 백신(임바네스)을 미리 확보해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