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금리 오르는데…" 중기 빚 500조, 이자 못갚는 좀비기업 급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사진은 국내 한 시멘트 공장의 모습. 뉴스1

사진은 국내 한 시멘트 공장의 모습. 뉴스1

경기도 안산시에서 전자부품 제조업체를 운영하는 A씨는 최근 불어나는 은행 빚 걱정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2019년 공장 설비를 늘리기 위해 은행에서 무리하게 대출을 받은 게 화근이었다. 코로나19 여파로 매출도 ‘뚝’ 떨어졌는데, 설상가상으로 납품하던 대기업이 공장을 해외로 이전해 하청물량도 끊기며 ‘적자 행진’이 시작됐다.

A씨는 “연 매출이 70억원까지 나오던 시절도 있었는데, 이제는 대출 이자도 못 갚을 정도로 매출이 줄었다”며 “정부의 코로나19 대출 원금상환 및 이자 유예조치가 끊기면 공장을 닫고 길거리에 나앉아야 할 판”이라고 토로했다.

대출 금리가 가파르게 오르며 중소기업이 짊어진 ‘빚 폭탄’도 커지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정책 완화에도 빚을 내 버텨야 할 만큼 경기 회복은 더디다. 한국은행이 26일 기준금리 를 0.25% 포인트 인상하며 대출금리는 더 뛸 전망이다. 빚으로 버티는 중소기업이 ‘이자 폭탄’의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 빚 500조 코앞…자금난에 회사채 경색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은행권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500조원을 코앞에 두고 있다. 지난 23일 기준 4대 시중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의 중소기업대출 잔액은 496조6700억원이다. 지난해 1월 말(427조1900억원)보다 16%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기업대출 잔액(지난해 1월 600조7500억원→지난 23일 692조4500억원)은 15.2% 불어났다.

기업이 은행 대출 창구로 몰려가는 건 코로나19 충격에 이어 원자재 가격 급등의 영향이다.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면전이 장기화로 원자재 가격의 오름세도 이어지고 있다. 익명을 요청한 시중은행의 기업대출 담당자는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생산비가 늘면서 직원 월급조차 주지 못해 은행을 찾는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중은행의 기업금융 담당자도 “최근 단기 자금난을 해결하려 마이너스 통장 개설 등을 문의하는 반도체 기업이나 자동차 부품업체 등이 많아졌다"며 "이런 업체 대부분이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소득신고조차 제대로 하지 못해 대출이 거절되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회사채 금리가 뛰면서 시장을 통한 자금조달 통로가 막힌 것도 기업의 은행대출 증가의 또 다른 이유다. 회사채의 지표금리인 국고채 금리가 올해 크게 뛰면서 회사채 시장은 얼어붙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신용등급 AA-급 우량기업의 3년 만기 회사채 금리는 지난 25일 연 3.717%를 기록해 지난해 말(연 2.415%)보다 1.3%포인트 올랐다. 같은 날 투자등급 중 가장 낮은 BBB- 등급의 금리(3년물)도 연초(연 8.271%)보다 0.85%포인트가 오른 9.570%로 올라서며 9%대를 돌파했다.

익명을 요구한 증권사 채권발행 담당자는 “국고채 금리 상승에 따라 회사채 금리도 오르고 있어(채권값 하락), 평가 손실을 우려하는 투자자가 회사채 매입 꺼리고 있다”며 “이 때문에 회사채 발행 미루는 기업들이 많아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돈 빌리려 2금융권으로…이자 못갚는 ‘좀비기업’도 증가

돈을 빌릴 곳이 마땅치 않은 기업들이 저축은행과 대부업으로 밀려나면서 대출 ‘풍선효과’도 나타나고 있다.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과거엔 신용도 낮은 기업이 많았다면, 요즘은 신용도는 좋은데 시중은행 대출 한도가 꽉 차서 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기업대출 비중도 과거 30%대에서 절반 수준까지 늘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저축은행 기업대출 책임자는 “코로나19 이후에는 저축은행의 대출 대상조차 안되는 업체들이 점점 많아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빚으로 버티는 기업은 금리 상승의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중소기업의 평균 대출금리는 연 3.57%로 지난해 연중 최저점(2021년 4월·연 2.82%)과 비교해 1년여 만에 0.75%포인트가 뛰었다. 대기업 평균 대출금리도 지난해 5월(연 2.42%)에서 10개월 만에 0.7%포인트가 오른 연 3.12%를 기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6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올라갈 때마다 기업 부담은 2조7000억원 가량 느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더 큰 문제는 대출 금리 상승으로 빚 부담이 커지며 돈을 벌어 대출금 이자조차 갚지 못하는 좀비 기업들이 늘어나는 것이다. 지난해 코스닥에 상장한 중소기업(총자산 5000억원 이하·1275개 기업) 중 돈을 벌어 이자도 못 갚는 ‘한계 기업’은 39.1%(498곳)로 나타났다. 1년 전(41.5%)보다 줄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37.7%)보다 늘었다.

게다가 오는 9월 정부의 원리금 상환 및 이자유예 조치가 중단되면 이러한 한계기업의 비중은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 김동헌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이 시작된 만큼, 정부가 더는 소상공인 부채와 관련된 논의를 미뤄선 안 된다”며 “기업의 부채와 관련된 출구전략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는 신호를 시장에 줘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