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김정은, 7차 핵실험 준비 끝냈다…美전문가들이 꺼낸 '대응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계속되는 가운데 미국 전문가들 사이에서 대응책으로 “항공모함 등 미군 전략자산의 한반도 배치”가 거론되고 있다. 북한이 25일 한ㆍ미를 동시에 겨냥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섞어 쏘고, 7차 핵실험 준비까지 마친 상황과 관련해서다.

지난 2018년 9월 '용맹한 방패(Valiant Shield) 2018' 훈련에서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인 로널드 레이건함이 선두를 서고 이지스 구축함과 B-52 전략폭격기 등 항공기가 따르고 있다. 사진 미 해군

지난 2018년 9월 '용맹한 방패(Valiant Shield) 2018' 훈련에서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인 로널드 레이건함이 선두를 서고 이지스 구축함과 B-52 전략폭격기 등 항공기가 따르고 있다. 사진 미 해군

해리 카지아니스 미국 국익센터(CFTNI) 한국 담당 국장은 이날(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과 인터뷰에서 “한ㆍ미는 지난 몇 년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핵 협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왔다”며 “이제는 좀 더 고전적인 접근법으로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ㆍ미가 항공모함을 한반도에 배치하는 것은 물론, B-52와 B-2 전략폭격기 등 핵무기 운반이 가능한 전략자산 배치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김 위원장이 무기들(핵ㆍ미사일)을 시험해 볼 수 있다면, 한ㆍ미가 억지력 유지 차원에서 이같은 시험을 하지 못할 이유 역시 없다”고 강조했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도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와 관련해 “누군가를 단념시키려면 특정 행동에 대한 대가가 있을 것이란 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방송에 말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미사일 시험을 하는 것을 막을 순 없지만, 그를 처벌할 방법은 있다”며 “그중 하나는 전략자산을 투입해 북한 일대를 날아다니며 그가 좀 걱정하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15일 필리핀해에서 작전 중인 미 해군의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인 에이브러햄 링컨함에서 F-35C 스텔스 전투기가 이륙하고 있다. 당시 미 해군은 서해(Yellow Sea)까지 장거리 출격했다고 발표했다. 사진 미 해군

지난 3월 15일 필리핀해에서 작전 중인 미 해군의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인 에이브러햄 링컨함에서 F-35C 스텔스 전투기가 이륙하고 있다. 당시 미 해군은 서해(Yellow Sea)까지 장거리 출격했다고 발표했다. 사진 미 해군

북한의 ‘섞어 쏘기’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한ㆍ미의 방어망 무력화와 관련이 있다는 분석도 나왔다. 빅터 차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 석좌는 이날 미국의소리(VOA)와 인터뷰에서 “북한이 단거리와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동시에 발사한 것은 물리적 방어 시스템에 어려움을 주려는 의도”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미사일 3발 중 1발이 실패한 것은 북한이 실패에 연연하지 않고 (미사일 프로그램) 기술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평가했다.

빅터 차 석좌는 사실상 준비를 끝낸 것으로 보이는 북한의 7차 핵실험과 관련해선 “북한의 도발은 거의 미국의 연휴 기간에 이뤄졌다”며 “빠르면 (미국의 현충일에 해당하는) 메모리얼 데이(5월 30일) 연휴인 이번 주말 북한의 핵실험이 이뤄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이와 관련, 이날 김태효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1차장은 “(핵실험을 준비하기 위한) 핵 기폭장치 실험을 탐지했다”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하루, 이틀 내에 핵실험이 일어날 가능성은 작지만, 그 이후 시점에선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