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주인공 친구의 하인’으로 출발, 독일 궁정가수 된 사무엘 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독일 쾰른 극장에서 사무엘 윤이 바그너 ‘라인의 황금’을 공연하던 장면. [사진 사무엘 윤]

독일 쾰른 극장에서 사무엘 윤이 바그너 ‘라인의 황금’을 공연하던 장면. [사진 사무엘 윤]

오는 22일(현지시각) 독일 쾰른 오페라 극장에는 오페라 공연 후 특별한 세리머니가 마련돼 있다. 베이스 바리톤인 사무엘 윤(50)을 위한 ‘궁정가수(Kammersaenger)’ 칭호 수여식이다. 사무엘 윤은 이날 오페라 ‘카르멘’에서 투우사인 에스카미요 역으로 출연한 뒤에 칭호를 받는다.

궁정가수는 성악가에게 영광스러운 지위다. 오페라 등 음악 무대의 공적뿐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임, 행적 등을 따져 수여한다. 독일의 주 정부별로 전설적인 성악가들에게 궁정가수 칭호를 수여했다. 테너 프리츠 분덜리히는 1962년 바이에른에서, 바리톤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는 63년 베를린에서, 루치아노 파바로티는 89년 함부르크에서 칭호를 받았다. 한국 성악가로는 2011년 소프라노 헬렌 권과 베이스 전승현, 2018년 베이스 연광철이 있다. 이들이 무대에 설 때면 이름 앞에 궁정가수를 뜻하는 ‘KS’를 붙인다.

“처음 독일에서 오페라 단역부터 시작했던 시절이 떠오른다.”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사무엘 윤은 자신의 1999년 당시 모습을 떠올렸다. 그는 쾰른 극장에서 일종의 수습 단원으로 시작했다. 첫 무대는 베르디 ‘라트라비아타’였고, 주인공 비올레타의 친구인 플로라의 이름 없는 하인 역할을 맡았다. 조역의 조역이다. “저녁 준비됐어요”라는 한마디를 노래하는 역할이었다. 그는 이듬해 정단원이 됐다. 2012년에는 독일의 자부심인 바이로이트 축제에서 오페라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의 주역을 맡았다.

22일 ‘카르멘’은 사무엘 윤의 마지막 쾰른 무대다. 그는 쾰른의 종신 성악가였지만, 올 3월 서울대 음대 교수로 임용돼 독일 생활을 정리한다. 마지막 무대를 칭호 수여식과 함께 하는 데 대해 그는 “23년 동안 모든 순간을 함께한 독일 청중에게 제대로 인사할 기회”라고 했다. “독일 생활 초기에 에스카미요 역을 하고 싶어 쾰른에서 오디션을 봤는데 떨어졌다. 이 역할로 마무리하는 건 의미가 크다. 많은 변화와 성장이 있었다.” 한 오페라 극장에서 20년 넘게 머문 성악가는 독일에서도 흔치 않다. “쾰른은 인구 100만이 넘는 큰 도시다. 오페라에 대한 애정이 뜨거워 지나는 사람들이 나를 알아볼 정도가 됐다. 이곳을 터전으로 삼아, 여러 무대에서 노래할 수 있었다.”

사무엘 윤은 “매년 200여번 무대에 섰다”고 했다. 한국으로 옮겨오면서 해외 연주 횟수를 줄인다. 대신 후학을 가르치는 일에 집중할 계획이다. 사실 그는 유럽 무대에 서면서도 한국 성악가를 정성스레 챙겼다. 유학 오는 후배들의 노래를 들어주고 방향을 알려주는 일을 2004년 시작했다. 그는 “어느 때부터인가 유럽 도시에 공연하러 갈 때면 후배들을 만나러 간다고 생각하게 됐다”며 “무대가 가르치는 일의 다음 일이 됐다”고 했다. “무대 위의 희열은 잠시 박수받는 일이다. 하지만 후배들과 인연은 수십 년이다.”

물론 한국에서도 허락된 무대에 부지런히 설 계획이라고 했다. 우선 오는 28일 서울모테트합창단의 브람스 독일 레퀴엠 공연에 출연한다. 그는 “한국 오페라 작품에도 자주 참여하면서 국내 오페라 무대를 활성화하고 싶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