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양주 동자석·나주 돌장승…조선의 걸작”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유홍준 교수

유홍준 교수

“그림은 사물을 본뜬 것이니 천지간의 것 가운데 그 오묘함을 그림으로 전하지 못할 것이 없다(···) 나는 화가에게 명하여 내가 그동안 거쳐왔던 관아들을 그리게 했다.”

조선시대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낸 한필교는 자신이 일했던 열 다섯개의 관아를 그린 화첩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의 서문에 이렇게 썼다. 현재 하버드대 옌칭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미술사학자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조선시대 관아 중 대부분이 옛 모습을 잃고 그 사진조차 남은 게 거의 없다는 점을 생각하면 사료적 가치는 값으로 매길 수 없다”고 평가했다.

조선 중종 때 문신 최명창 묘 동자석. 돌장승의 백미로 꼽힌다. [사진 눌와]

조선 중종 때 문신 최명창 묘 동자석. 돌장승의 백미로 꼽힌다. [사진 눌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쓴 유 교수가 최근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4』(눌와)를 펴냈다. 『한국미술사 강의』는 유 교수가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 우리나라 미술사 흐름을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 쓴 개론서다. 2013년 3권 이후 9년 만에 출간된 4권의 주제는 독특하다. 건축부터 조선시대 왕릉과 사대부 묘에 세워진 조각상(능묘조각), 마을을 지킨 장승, 불교미술을 두루 다뤘다.

이번에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조선시대 미술사의 사각지대를 본격적으로 다뤄봤다. 전통 건축은 건축사에서 다뤄진 건 꽤 많지만 구조 이야기가 대부분이다. 미술사 측면에서 건물의 형태와 기능, 아름다움 등을 함께 들여다보고 싶었다.”
능묘조각과 돌장승을 다룬 게 눈에 띈다.
“나름대로 파격적인 접근이었다. 능묘조각을 미술사에서 다룬 건 많지 않았다. 돌장승을 통해서도 우리가 짚고 넘어가야 할 아름다운 것들을 말하고 싶었다.”
전남 나주 불회사 돌장승 중 하원당장군. 돌장승의 백미로 꼽힌다. [사진 눌와]

전남 나주 불회사 돌장승 중 하원당장군. 돌장승의 백미로 꼽힌다. [사진 눌와]

대표적인 능묘조각을 꼽는다면.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최명창(1466~1536) 묘의 동자석은 걸작 중 걸작이다. 이 동자석은 정면을 바라보는 모습이 아니라 고개를 돌리고 있는 역동적인 몸동작에 눈빛이 예리하다. 천의를 걸치고 손에 연꽃봉오리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대단히 아름답고 조각적으로 우수한 능묘조각의 백미다.”
장승은 민속 분야에서 다뤄왔는데.
“장승엔 생산 과정의 협업, 풍요와 다산, 액막이·수호신 등 공동체 문화의 정서를 담은 특유의 아름다움이 있다. 미술사 분야에서 더 깊이 다뤄져야 한다.”
‘나주 불회사 돌장승’을 걸작으로 꼽았다
“우리나라 ‘돌장승의 백미’라 할 수 있는 뛰어난 조각이다. 사찰 장승이지만 마을 장승처럼 친근한 우리네 할아버지·할머니 상 그대로다.”
전남 나주 불회사 돌장승 중 주장군. 돌장승의 백미로 꼽힌다. [사진 눌와]

전남 나주 불회사 돌장승 중 주장군. 돌장승의 백미로 꼽힌다. [사진 눌와]

그는 이번 책에서 불교미술에 가장 많은 분량을 할애했다. 조선 전기의 불교미술, 산사의 미학, 조선 후기 불상과 불화, 불교 공예까지 분석했다.

“조선은 숭유억불(崇儒抑佛·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압함)의 나라라고 여기며 불교미술을 미미하게 보는 경향이 있다”며 “그러나 양식상으로 고려시대 불교미술과 다르고 그 자체로도 뛰어나다”고 말했다. 그는 “임진왜란 이후 불교는 새로운 중흥기를 맞이해 전국에 거대한 사찰을 짓고 많은 불상과 불화를 봉안했다. 조선시대는 ‘숭유억불’이 아니라 ‘숭유존불’(崇儒尊佛) 시대로, 조선 후기에 불교미술이 전성기였다는 얘기를 전하고 싶었다”고 덧붙였다.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불화로 괘불을 꼽았다.
“불화 도상이 훨씬 다양해지고 규모도 전에 없이 커졌다. 야외 법회때 거는 대형 불화 괘불이 많이 제작됐다. 괘불은 높이 10m가 넘기도 하는데 현재 사찰에 남은 게 약 90점이다. 이것은 고려, 조선 전기에는 없던 것이고, 중국과 일본에도 없다.”
회화사 전공이면서 건축과 조각까지 모두 다뤘다.
“미술사를 배우고도 정작 현장 답사를 가면 능묘조각 등 모르는 미술품이 너무도 많다. 한국 미술사의 사각지대를 밝히자는 책임감으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