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치 떨어져 수출 호재…실적 개선 땐 주가 오를 것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788호 03면

[증시 긴급진단] 낙관론 편 박세익 체슬리투자자문 대표

코스피가 1년 6개월 전 수준으로 회귀했다. 3000선 근처에서 2022년을 시작한 코스피는 12일 2550선까지 내려앉았다. 코스피 전체 기업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0.7배까지 떨어졌다. 이 수치는 낮을수록 주식이 저평가됐다는 뜻인데 코스피가 1450선까지 밀렸던 2020년 3월(12배)보다도 낮다. 경기 전망을 나타내는 경기선행지수는 지난해 6월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최근 전 세계 증시의 가장 큰 위협은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에 따른 기준금리 인상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이달 초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을 밟았고, 한국은행은 지난해 7월 이후 네 번에 걸쳐 기준금리를 1%포인트 인상했다. 그럼에도 물가가 잡힐 기색이 안 보이자 시장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상승) 공포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비관적인 전망만 나오는 건 아니다. 혼돈의 시기, 국내 증시는 어디에 서 있고 또 어디로 갈지 두 명의 전문가에게 물었다.

박세익 체슬리투자자문 대표는 코스피가 20% 조정 뒤엔 강하게 상승하곤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민규 기자

박세익 체슬리투자자문 대표는 코스피가 20% 조정 뒤엔 강하게 상승하곤 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민규 기자

관련기사

“시장에 공포가 퍼질 때가 우량주를 싸게 살 기회다. 믿을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해 견뎌내야 한다.” 오랜 경험에서 비롯된 투자 조언으로 개인 투자자들에게 ‘동학개미의 멘토’란 별명을 얻은 박세익 체슬리투자자문 대표는 최근 증시에 대한 우려가 과도한 것으로 평가한다. 그는 “코스피가 고점 대비 20% 정도 빠지는 조정은 2년에 한 번씩 벌어졌다”는 점을 강조했다. 1998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등 금융 시스템을 흔드는 대형 사고가 터진 것이 아니라면 크게 걱정할 일이 아니란 얘기다. 박 대표는 신한BNP파리바운용, 한화운용, 인피니티투자자문 등에서 27년간 시장을 겪은 실전 투자 전문가로 꼽힌다.

현재 증시를 진단하면.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했을 때 자주 나타나는 조정 장세라고 본다. 2003년 사스(SARS, 중증급성 호흡기 증후군) 사태를 거친 뒤 이듬해 4월까지 코스피는 83% 상승했다. 경기가 과열되자 당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금리 인상 카드를 꺼냈고, 그해 6월 첫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이때 코스피는 두 달 동안 24% 하락했다. 이후 조금씩 상승하던 코스피는 같은 해 8월 연준이 두 번째 금리 인상에 나서자 다시 전저점을 살짝 밑돌았다. 지금과 너무 흡사한 상황이다. 이렇게 조정을 거치고 나면 증시는 강하게 상승하곤 했다.”
이번에도 상승세가 올까.
“핵심은 우리 기업들의 실적이다. 실적이 좋아도 투자 심리가 악화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과거 사례를 통해 투자 심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살펴보는 이유다. 다음은 기업 실적이 받쳐주는지가 관건이다. 지금 원·달러 환율이 1280원대인데 이렇게 원화가치가 낮아졌을 땐 수출 중심의 대형주들이 호실적을 내곤 했다. 코스피에서 수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70% 이상이다. 단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이 넘는다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1300원을 넘는다면 1998년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 때처럼 금융 시스템 어딘가에 문제가 생겼다고 봐야 한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최근 원화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는.
“물가상승률이 고공행진을 벌이다 보니 미국 연준이 금리를 올리고, 우크라이나 사태로 안전자산에 관심이 커졌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계속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 전쟁은 예측 불가능한 일이다. 다만 물가에 대한 공포는 지금이 정점이라 판단한다. 올해 인플레이션이 워낙 급격하게 나타나다 보니 기저효과 때문이라도 내년엔 디플레이션(물가 하락)을 걱정할 가능성이 높다.”
경기침체로 증시가 하락할 수 있는데.
“2019년에도 미국 공급관리협회가 발표하는 제조업지수(PMI·구매관리자지수)가 꺾였다. PMI는 제조업 분야의 경기동향을 나타내는 지수다. 경기 상황이 악화됐다는 것인데 그해 S&P500은 28.8% 올랐다. 2015년부터 우상향하던 물가상승률이 2019년 2%대에서 횡보하면서 연준의 금리인상이 멈췄다. 안도랠리가 나온 것이다. 한국도 경기가 좋지 않았다. 그러나 코스피는 7% 이상 올랐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40% 이상 올랐다. 결국 경기 침체 자체보단 우리 기업들이 경기 침체에 대응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하다.”
개인 투자자의 대응 방법은.
“이럴 때일 수록 우량기업을 들고 있어야 한다. 판단 기준은 간단하다. 사업 분야에서 세계 1위 기업인지 살펴보는 것이다. 여기에 하나만 더 추가하자면, 중국 기업과 경쟁하고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지금까지 사례를 살펴보면 중국 기업과 경쟁하는 시장은 레드오션이 되곤 했다. 매출이 떨어지고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이들 기업은 가급적 피하는 게 좋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Innovation La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