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실외 마스크 해제…안 쓰는 유럽, 다 쓰는 한·일·싱가포르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5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찾은 시민들 모습. [연합뉴스]

5일 서울 어린이대공원을 찾은 시민들 모습. [연합뉴스]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진 지 4일째를 맞았다. 하지만 거리에서 마스크를 벗은 사람을 찾기 힘들다. 5일 어린이날을 맞아 경복궁·놀이공원 등에 인파가 몰렸는데, 이들 중에도 마스크를 안 쓴 사람이 거의 없었다. 566일 만에 벗게 돼 마스크를 던지는 사람이 줄을 이을 것으로 내다봤으나 그 예상이 빗나갔다.

일본·싱가포르 등도 마찬가지다. 일본은 법적으로 마스크 착용을 강제한 적이 없다. 고위험군에 마스크를 권고했을 뿐이다. 싱가포르는 3월 29일 실외 마스크를 해제했다. 두 나라의 거리에도 마스크를 안 쓴 사람을 찾기 어렵다.

지난 4일 일본 도쿄의 사찰 아사쿠사 센소지. [AP=연합뉴스]

지난 4일 일본 도쿄의 사찰 아사쿠사 센소지. [AP=연합뉴스]

관련기사

싱가포르의 일간지 스트레이츠 타임스(The Straits Times)는 지난달 22일 “여전히 많은 사람이 실외에서 다양한 이유로 마스크를 계속 쓰고 있다”고 보도했다. 대표적인 이유가 개인의 안전의식을 들었다. 또 밖에 나갔다 바로 실내로 돌아와야 할 경우 그냥 쓰고 나가는 게 편하다는 분석을 내놨다.

국내에서는 적지 않은 사람이 운동·등산할 때도 마스크를 쓴다. 이런 분위기 탓에 ‘내가 먼저 벗기’가 부담스럽다는 이가 많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이 지난달 29일 실외 마스크를 해제하면서 “절대 마스크 프리가 아니다”라며 경계심이 풀어질까 봐 걱정했지만, 그의 우려가 기우였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유럽·미국 등의 서구 국가는 마스크를 쓴 사람이 별로 없다. 영국은 1월 27일 일찍이 실내 마스크 의무를 해제했다. 프랑스는 3월 14일 대중교통을 빼고, 독일은 3월 20일 의료기관·대중교통을 제외하고 실내 착용 의무를 없앴다. 이들 나라에서는 코로나19가 한창 확산할 때도 마스크 해제를 주장하며 격렬한 시위가 벌어졌다.

지난달 26일 싱가포르 시내 풍경. 세 나라에선 실외 마스크 착용이 일반적이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달 26일 싱가포르 시내 풍경. 세 나라에선 실외 마스크 착용이 일반적이다. [로이터=연합뉴스]

동서양의 마스크 차이는 문화 차이에서 유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질병관리청 정통령 총괄조정팀장은 “서양에서는 마스크는 범죄자가 쓴다는 인식이 있으며, 익숙하지 않은 걸 억지로 강제한다고 생각한다”며 “한국은 황사 때문에 익히 마스크에 익숙하다”고 말했다.

경북대 일반사회교육과 김광기 교수는 “서구에서는 국가가 왜 마스크를 강제하며 개인의 자유를 침해하느냐고 반발해 마스크를 벗어 던지지만 동양은 국가가 요청하면 받아들이고 남에게 피해를 덜 주려는 집단주의 문화에 익숙해 있다”고 말했다. 방역의 일등공신이 누구인지 이번에도 드러났다는 것이다.

특히 한국은 사스·메르스를 경험하면서 감염병이 발생하면 마스크가 가장 안전한 수단이라고 여겨 이거부터 챙기는 게 습관이 됐다. 질병관리청 관계자는 “일본은 삼나무를 비롯한 꽃가루 알레르기를 줄이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게 몸에 배 있다고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