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웃다 갑자기 탕탕탕…'희대 살인마'에 당한 62명 한 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982년 4월 26일 오후 9시30분쯤 경남 의령군 의령경찰서 궁류지서. 우범곤(당시 27세) 순경이 현재의 경찰 치안센터 옆에 있는 예비군 무기고에 침입했다. 그는 카빈소총 2정과 실탄 129발, 수류탄 6발을 들고 나오더니 곧바로 지서 앞에서 지나가던 행인에게 총을 난사했다. 40년 전 62명이 죽고 33명이 다친 이른바 ‘우 순경 사건’의 시작이다.

[e즐펀한 토크] 위성욱의 경상도 단디보기

우 순경은 행인을 총으로 쏘아 죽인 뒤 곧바로 궁류우체국 쪽으로 향했다. 당시로선 유일한 통신시설이 있던 외부와의 연락을 끊기 위해서였다. 우체국에 들어가 전은숙(당시 21세)씨 등 전화교환원과 집배원 등 3명을 살해한 후 궁류면 4개리를 돌아다니며 총기를 난사했다.

우순경 사건 발생 직후 다수의 사망자를 수습하기 위해 관을 공수하는 모습. 중앙포토

우순경 사건 발생 직후 다수의 사망자를 수습하기 위해 관을 공수하는 모습. 중앙포토

우 순경은 토곡리 지서와 우체국에서 살인을 저지른 뒤 자신의 집이 있는 압곡리 매곡마을로 향했다. 10분 후 마을에 도착한 그늘 불이 켜진 집이나 사람이 모인 집에 들어가 무차별적으로 총을 쐈다.

이날 상황은 사건 당일 우체국에서 당직을 서다 사망한 집배원 전종석씨의 형 전종택(84)씨의 증언에서 확인된다. 전씨는 “잠을 자고 있는데 따닥따닥하는 총소리가 나서 처음엔 간첩이 온줄 알았다”고 했다. 그는 “숨어서 지켜보니 우 순경이 불 써난(켜놓은) 집이면 다 들어가 아고(아이고) 어른이고 할 것 없이 총을 쏘며 내려오는데 곳곳에서 비명이 들렸지만 무서워서 나가지도 못했다”고 말했다.

지난 20일 궁유면사무소 앞에서 전종택씨가 우순경 사건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위성욱 기자

지난 20일 궁유면사무소 앞에서 전종택씨가 우순경 사건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위성욱 기자

우 순경이 범행을 저지른 계기도 황당했다. 당시 매곡마을에서 전모(여·당시 25세)씨와 동거를 하던 우 순경이 집에서 잠을 자고 있을 때다. 야간 근무를 앞두고 낮잠을 자던 우 순경 가슴에 파리가 붙었다. 전씨가 이를 잡겠다고 손바닥으로 우 순경의 가슴을 쳤는데 놀라 깬 우 순경과 전씨가 크게 다투었다.

이후 야간 근무를 위해 지서로 간 우 순경이 홧김에 범행을 저질렀다. 당시 우 순경이 쏜 총에 맞은 동거녀 전씨는 이런 내용을 진술한 뒤 수술을 받았으나 끝내 숨졌다.

전종택씨가 매곡마을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집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다. 위성욱 기자

전종택씨가 매곡마을에서 가장 많은 희생자가 나왔던 집을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다. 위성욱 기자

자신의 집에서 나온 뒤에도 우 순경의 살인 행각은 계속됐다. 그는 다시 600m 거리의 운계리 궁류시장으로 내려갔다. 이곳은 5일장이 열려 늘 사람들로 붐비는 곳이었다. 우 순경은 길을 걸어가다 만난 중학생과 함께 태연히 시장으로 들어간 뒤 갑자기 총을 쏘기 시작했다.

당시 우 순경은 시장을 돌아다니며 “간첩이 나왔다. 다 나와 보시오~”라고 소리를 질러 사람들을 끌어내기도 했다. 이때 시장 입구에서 총소리가 나자 무슨 일인가 싶어 불을 켠 집이나 집 밖으로 나온 사람들은 또다시 우 순경이 쏜 총탄을 맞아 숨져갔다.

우범곤 순경이 범행전까지 전모씨와 동거하던 매곡마을의 한 방. 중앙포토

우범곤 순경이 범행전까지 전모씨와 동거하던 매곡마을의 한 방. 중앙포토

궁류시장에서 18명을 살해한 우 순경은 다시 2㎞ 정도 떨어진 평촌리에 자정쯤 도착했다. 평촌리 사람들은 한 상갓집에 대부분 모여 있었다. 우 순경은 상갓집에 들어가 조의금 3000원을 내고 술상까지 받았다.

마을 사람들은 카빈소총을 맨 채 상갓집에 들어선 우 순경을 향해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이에 우 순경은 “간첩이 나와 비상이 걸렸다”고 둘러댔다. 우 순경은 또 “봉급도 쥐꼬리 같고, 총각이라고 차별도 하고, 이놈의 순경 짓 더러워서 못 해 먹겠다”고 푸념도 했다고 한다.

이후 한 주민이 건넨 농담에 우 순경은 또다시 발끈했다. 주민이 술상 옆에 놓아둔 카빈총을 툭 치며 농담처럼 “실탄도 없는 빈 총을 뭐하러 가지고 다니냐”고 말한 게 화근이었다. 이 말을 들은 우 순경은 갑자기 총을 들고 농담을 한 주민과 이장 등 조문객들에게 무차별적으로 총을 쐈다. 그렇게 상갓집에서만 희생된 사람이 24명에 달했다.

 평촌리에서 가장 많은 사상자가 났던 상갓집의 현재 모습. 위성욱 기자

평촌리에서 가장 많은 사상자가 났던 상갓집의 현재 모습. 위성욱 기자

우 순경은 상갓집에서 범행을 저지른 뒤 산속에 숨어 있다가 다음날 오전 3~4시쯤 평촌리로 다시 내려와 서모씨 집의 일가족 5명을 인질로 잡고 있다가 수류탄을 터뜨려 자폭했다.

우 순경은 희대의 살인마로 단시간 최다 살인으로 기네스북에도 올랐다. 하지만 이 사건은 발생 일주일 후 사실상 언론보도가 사라졌다. 당시 전두환 군사정권 하에서 보도 통제가 되면서다. 이후 40년이 넘도록 이들 희생자를 이야기하는 것은 의령군 내에서도 사실상 ‘금기시’ 되었다. 유족들이 평생 가슴에 한이 맺힌 이유다.

우순경 사건 당시 사망자와 부상자들을 옮기기 위해 진주ㆍ마산의 병원 앰블란스와 택시ㆍ트럭, 시외버스 등이 대거 동원됐다. 중앙포토

우순경 사건 당시 사망자와 부상자들을 옮기기 위해 진주ㆍ마산의 병원 앰블란스와 택시ㆍ트럭, 시외버스 등이 대거 동원됐다. 중앙포토

유가족 전병태(87)씨는 당시 우 순경에 의해 아들을 잃고도 궁류면사무소 면장으로서 사고를 수습해야 했다. 전씨는 “당시 지서에는 우순경 외에도 몇 명이 더 근무해야 하는데 인근 부곡으로 온천욕을 즐기러 가서 자리에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사고가 발생한 뒤에도 군경이 뒤늦게 대응하면서 피해가 커졌는데 이런 것을 고려하면 국가의 책임이 너무도 큰 사건이었다”며 “그럼에도 정부 통제로 인해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행사 한번 열리지 않고 오히려 유족들만 죄인들처럼 입을 다물고 살아왔다”고 말했다.

우순경 사건을 증언하고 있는 전병태(87)씨. 위성욱 기자

우순경 사건을 증언하고 있는 전병태(87)씨. 위성욱 기자

희생자 유족들은 “최근 40년 만에야 그나마 한을 풀 길을 찾았다”고 했다. 우 순경 사건 피해자들의 넋을 위로하는 위령탑과 추모공원이 세워지게 돼서다. 30일 의령군에 따르면 오태완 군수가 지난해 12월 17일 김부겸 국무총리를 만나 위령탑 등을 지을 수 있도록 10억 원을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

의령군은 국비 10억 원과 군비 5억원 등 15억 원을 들여 위령탑과 추모공원을 만드는 사업을 할 방침이다. 오 군수는 “경찰은 공권력의 상징인데 그런 경찰이 벌인 만행인 만큼 국가가 책임이 있고 그래서 국비로 이들의 넋을 위로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우순경 사건 당시를 설명하고 있는 전원배(80)씨. 위성욱 기자

우순경 사건 당시를 설명하고 있는 전원배(80)씨. 위성욱 기자

우 순경 사건 당시 궁류우체국에서 전화교환원으로 일하다 숨진 전씨의 오빠 전원배(80)씨는 “마을을 지키고 주민을 보살펴야 할 지서 순경이 무시무시한 살인마로 돌변할지는 아무도 몰랐다”고 했다. 그는 “하룻밤 새 100여명의 마을 주민들이 죽거나 다쳤지만 40년 동안 유족들은 그 한을 가슴에 숨긴 채 살아왔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