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빅 미스매치’]중국 AI인재 100만 명 육성 추진…대만 국가가 직접 반도체 인재 양성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786호 10면

SPECIAL REPORT

지난해 3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반도체 박람회의 참석자들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3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반도체 박람회의 참석자들 모습. [연합뉴스]

지난해 말 중국은 18개 성(省)의 당서기를 교체했다. 당서기는 중국 공산당에서 당주석 다음가는 정치적 위상을 지닌 중요한 자리인데, 새로 취임한 18명의 당서기 중 83.3%인 15명이 이공계 출신이다. 세부 전공도 우주·방위·의료·원자력 등으로 다양하고, 13명은 석·박사 학위까지 보유했다. 국가 지도층의 주요 자리부터 이공계 전문 지식을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는 인사들로 채우고 있는 것이다. 미국과의 글로벌 패권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반도체와 2차전지 등의 산업 육성으로 이른바 ‘기술 굴기(倔起)’에 나선 중국이 국가적으로 얼마나 이공계 우대에 힘쓰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장면이다.

중국은 이미 2008년부터 이공계 인력 확보를 위해 ‘천인계획’을 시작한 바 있다. 천인계획은 해외에 진출한 자국의 과학기술 인재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국의 인재 양성 프로그램으로, 지금까지도 꾸준히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지난해에는 칭화대와 베이징대에 집적회로 단과대를 세우고, 반도체 업계가 필요로 하는 맞춤형 인재 양성에도 나섰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인재 100만 명 육성을 목표로 대학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기준 230여 개 대학에서 약 400개의 AI 관련 학과와 전공을 운영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 전국을 북부와 중부, 남부 3개 권역으로 나눠 반도체 핵심 클러스터로 키운 대만은 일찌감치 신주과학산업단지, 중부과학산업단지, 남부과학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반도체 연구·개발(R&D)과 생산 생태계를 조성했다. 대만은 특히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민간에만 맡기지 않고 국가가 직접 챙겨왔다. ‘기업이 요구하는 질과 양을 갖춘 반도체 인재 공급 보장’을 국가의 역할로 명시했다. 이를 위해 대학 정원 관련 규제를 대폭 풀었다. 대만 정부는 반도체·AI·재료·기계 등 반도체 관련 핵심 분야에선 학사 정원의 10%, 석·박사 정원의 15%를 늘렸다. 또 교수와 학생 비율 규정도 이 과정에선 예외로 했다. 최근 1년 사이엔 8개 주요 대학이 추가로 반도체학과를 개설했거나 준비 중이다.

관련기사

일본도 첨단산업 인재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20년 기준 일본 내 개발자 수는 122만 명으로 글로벌 4위에 달했다. 여기까지만 보면 크게 부족하지 않은 숫자 같지만 일본이 위기감을 가진 대목은 AI 등 일각에서 ‘4차 산업혁명’이라 일컫는 제조업과 IT의 융합화에 필수적인 첨단 IT 분야 인력의 수급 불균형이다. 지난해 말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2030년 무렵 자국 내 AI 관련 인력이 필요한 규모에 비해 27만 명이나 부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일본은 정부 차원에서 대학·대학원생 50만 명에게 AI를 가르치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글로벌 학술정보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세계 AI 기술 특허 출원 상위 10개국 중 일본은 6754건으로 3위에 올랐다.

이런 분위기 속에 불과 수년전까지만 해도 “구글은 전체 신입사원의 절반 이상을 인문계 출신으로 뽑는다”는 말이 나올 만큼 균형 잡힌 인재 육성·채용에 힘쓰던 미국에서마저 변화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대학 내 반도체학과 정원을 확 늘리는 등 첨단산업 관련 학과 비중을 키우고 있다. 2020년 기준 미국의 개발자 수는 409만 명으로 2위인 중국(232만 명)의 1.8배에 달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