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팩플] '검수완벽' 플랫폼에 몰린다…가성·가심비 다 찾는 '앰비슈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5면

리셀 플랫폼이 다루는 카테고리는 여러 산업군으로 확장되고 있다. 사진 스톡엑스

리셀 플랫폼이 다루는 카테고리는 여러 산업군으로 확장되고 있다. 사진 스톡엑스

SNS(소셜네트워크)에서 시작된 C2C(개인간 거래) 시장이 커지고 있다. 플랫폼들의 거래 규모가 빠르게 커지는 가운데, 정품 여부를 검증하는 검수 역량이 플랫폼 경쟁력의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특히 스니커즈 거래 시장서 경쟁하던 네이버 크림과 무신사 간 에센셜 티셔츠 가품 논란 이후, 진짜와 가짜를 구분할 수 있는 기술력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 커졌다.

무슨 일이야

C2C 시장은 가성비를 중시하는 ‘중고 거래(resell)’와 취향에 맞는 고가품을 재거래하며 재테크까지 노리는 ‘리셀(resale)’로 나뉜다. 특히, 그 둘을 모두 추구하는 ‘앰비슈머’(ambivalent consumer)가 C2C 시장의 핵심 소비층이다. 앰비슈머는 평소엔 가성비를 따지다가도, 본인이 중시하는 가치에는 주저 없이 지갑을 여는 이중적 소비자를 뜻한다. 미국 중고의류 플랫폼 스레드업에 따르면 중고와 리셀의 글로벌 시장규모는 지난해 370억 달러에서 2025년 770억 달러로 2배 이상 커질 전망이다.

커지는 중고 & 리셀 시장.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커지는 중고 & 리셀 시장.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왜 중요해

최근 벌어진 크림 vs 무신사 가품 논쟁을 계기로, 소비자들은 플랫폼은 거래 중개자 역할 뿐 아니라 정품 보증 역량을 더 눈여겨보기 시작했다.
① 물건 대신 ‘신뢰’ 파는 C2C 플랫폼 :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 시장에 비해 C2C는 아직 안전 장치가 부족한 편이다. 그나마 중고 거래 플랫폼인 당근마켓과 번개장터는 각각 ‘직거래’와 ‘안전결제’로 신뢰의 문제를 일부 해소하고 있지만, 가품의 역사가 긴 고가의 명품 리셀에는 안 통하는 방식. 특히 리셀은 스니커즈 뿐만 아니라, IT기기, 의류, 아트토이 등 취급 상품의 범주가 확대되는 중. 리셀 플랫폼과 개인 병행수입업자들이 판매자로 참여하는 명품 플랫폼에 검수력이 중요해진 이유다.

② 검수 기술, 플랫폼 경쟁력과 직결 : 플랫폼들도 검수력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다. 지속 성장하고 사용자 유입을 늘리려면 물건 품질과 관련한 잡음을 없애야 하기 때문. 크림 vs 무신사 가품 논쟁을 두고 업계에서 ‘멸망전’(한쪽이 죽을 때까지 하는 게임)으로 부르는 이유도 그만큼 가품 판매 이력은 검수 신뢰도에 큰 타격을 주기 때문.

리셀 & 명품, 어떻게 검수하나

플랫폼마다 검수 방식과 역량에 차이가 있다. 기술 기반으로 정⋅가품 문제를 해결하려는 곳이 있는가 하면 전문가의 육안 확인에 중점을 둔 플랫폼들로 나뉜다. 전반적으로는 기술력을 강화하는 중.

네이버 크림은 “현재 정⋅가품 감정하는 곳 중 최대 규모”라 주장하는 검수 센터를 운영 중이다. 그동안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검수팀이 하는 육안 검사 뿐 UV라이트 검사⋅CT 촬영⋅인공지능(AI) 검수도 병행한다. 실물을 반드시 확인하는 이유에 대해 크림 관계자는 “영수증이나 보증서 등 서류까지 위조한 가품이 활발하게 유통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리셀 플랫폼 스톡엑스의 홍콩 검수센터에서 스니커즈 검수가 이뤄지고 있다. 사진 스톡엑스

미국 리셀 플랫폼 스톡엑스의 홍콩 검수센터에서 스니커즈 검수가 이뤄지고 있다. 사진 스톡엑스

현재 육안 검사만을 하고 있는 플랫폼들도 기술 기반 검수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사람의 안목이나 경험의 자리를 기술이 대체하고 있는 것. 명품 검수 전문가 인력 풀이 좁은 탓에 이제까지는 검수의 상당 부분을 개별 브랜드를 좋아하는 마니아들이 담당해왔다. 업계 관계자는 “검수를 할 수 있는 인력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물밑 인력 쟁탈전도 심한 편”이라고 말했다.

한 차례 홍역을 치른 무신사는 상반기 중 서울에 제2검수센터를 열고 기술 기반 검수 시스템을 준비 중이다. 무신사 관계자는 “구체적인 방식은 정해지지는 않았지만, 기술 기반 검수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며 “현재 관련 개발자를 채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으로는

‘디지털 인증서’로 꼽히는 NFT(대체불가능토큰)이 가품 논란을 해결할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브랜드·유통사·플랫폼 모두 NFT를 주목한다. 일단 브랜드가 1차 제조 단계부터 NFT를 적용하는 게 가장 확실한 정품 인증 방법이다. 또는 유통사가 공식 판매처나 신뢰도 높은 부티크에서 제품을 들여오면서 NFT를 발행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유통 과정의 투명성도 높아진다. SSG닷컴은 지난해 8월부터 NFT 기술을 적용한 명품 디지털 보증서 ‘SSG개런티’를 도입했다.

C2C로 인해 물류와 금융에도 새로운 움직임이 나오고 있다. ‘돈 안되는 물류’ 취급 받던 C2C 택배 시장이 커질 수 있다. 리셀 플랫폼에선 제품 하나당 판매자→플랫폼, 플랫폼→구매자로 두 번의 택배 수요가 생기기 때문. 금융 시장도 C2C에 관심이 크다. 블록체인 기술 스타트업 블록오디세이는 올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금융사와 유통 업체들이 참여하는 NFT 인증 시스템을 준비 중이다. 연창학 블록오디세이 대표는 “NFT 인증을 통해 제품의 신뢰성이 담보된다면 진품의 자산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며 “검수 역량이 확실한 플랫폼이나 구매자 개인에게는 대출 문턱이 낮아지고, 결제도 간소화 되는 등 금융 시장까지 혁신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는 팩플레터 229호의 요약본입니다. 검수 커머스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면 풀버전인 ‘[팩플] 찐의 전쟁, 누가 검수완벽을 해낼까’를 참고해주세요.

배너 클릭 시 구독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www.joongang.co.kr/factpl

배너 클릭 시 구독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s://www.joongang.co.kr/factp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