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서울 종묘~퇴계로에 ‘연트럴파크 4배 면적’ 녹지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21일 서울시가 제시한 종묘~퇴계로 일대 녹지생태도심 재정비 사업 완료 후 조감도. [사진 서울시]

21일 서울시가 제시한 종묘~퇴계로 일대 녹지생태도심 재정비 사업 완료 후 조감도. [사진 서울시]

서울시가 종묘와 퇴계로 일대(44만㎡) 등을 재정비해 도심 녹지비율을 4배 이상 끌어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과거 재정비 사업이 좌초된 종로 세운지구 일대도 새롭게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서울시는 21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내놨다. 이에 따르면 녹지생태도심 전략은 건축물의 높이를 올리는 대신 바닥 면적(건폐율)을 줄여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게 핵심이다. 이를 위해 서울도심 기본계획상 90m로 제한된 건축물 높이를 재조정하고 도심 안팎의 용적률(600%~800% 이하)을 완화하는 방안 등을 적극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런 규제완화를 통해 사업자로부터 공원과 녹지부지를 ‘공공기여’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통합구역 재개발시 녹지공간 확보 방안.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통합구역 재개발시 녹지공간 확보 방안.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녹지형태는 마포구의 ‘연트럴파크형’이 꼽힌다. 기존 공원과 개별건축물의 녹지나 공터 등을 쭉 이어 선형 공원을 만드는 식이다. 같은 면적의 공원이라도 정방형보다는 옆으로 긴 선형이 더 많은 지역과 닿을 수 있어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현재 건물마다 제각각인 차량 진출입로도 한 곳으로 모아 녹지와 차도를 분리하기로 했다.

건축물 높이 규제와 용적률 등이 완화되면서 생기게 되는 고밀·복합공간은 업무·상업·문화시설뿐만 아니라 주거공간으로도 공급한다.

녹지공간 확보 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녹지공간 확보 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서울시는 이런 구상을 가장 먼저 적용할 지역으로 종묘~퇴계로 일대(44만㎡)를 꼽았다. 동·서로는 1~8가까지, 남·북으로는 율곡로에서 퇴계로까지를 신규 정비구역으로 지정해 14만㎡ 규모의 공원·녹지를 만든다는 방안이다. 연트럴파크(3만4200㎡)의 4배 수준이다.

이 중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밝힌 세운지구도 포함돼 있다. 오 시장은 2009년 세운상가를 철거하고 주변 8개 구역을 통합 개발한다는 세운지구재정비촉진계획을 세웠지만, 고(故) 박원순 전 시장 재임 당시인 2014년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계획이 완전히 변경됐다.

서울시 녹지공간 확보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서울시 녹지공간 확보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오 시장은 이날 세운상가 지하 1층 세운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세운상가, 대림상가, 삼풍상가를 매입하는 것을 조건으로 용적률 인센티브를 줘 통합 재개발에 따른 녹지공간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의 녹지생태도심 전략이 현실화하면 박 전 시장 시절 1000억원을 들여 만든 공중보행로는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오 시장은 “이 계획을 실현하려면 공중보행로가 ‘대못’이 될 수밖에 없고, 대못은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서울시는 종묘~퇴계로 일대에서 사업이 추진되지 않아 구역해제될 위기인 147개 구역 중 20개 내외를 정비구역으로 재조정할 계획이다. 최종적으론 북한산과 종묘, 남산, 한강을 잇는 녹지 축을 만들고 기존 3.7%(고궁 포함 8.5%) 수준인 도심 녹지를 15% 이상으로 넓힌다.

오 시장은 “센트럴 런던, 뉴욕 맨해튼 시내의 녹지비율이 15~26% 정도 된다”며 “(서울도) 20년 정도 시간을 두고 꾸준히 (녹지생태도심 전략의) 원칙이 지켜진다면 푸른 나무숲과 빌딩 숲이 어우러진 녹지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