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종묘·퇴계로, ‘연트럴파크’ 4배 녹지로”…세운상가는 역사속으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종로구 세운상가 세운홀에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전략 현장 기자설명회를 갖고 세운재정비촉진지구를 바라보고 있다. [뉴스1]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종로구 세운상가 세운홀에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전략 현장 기자설명회를 갖고 세운재정비촉진지구를 바라보고 있다. [뉴스1]

서울시가 종묘와 퇴계로 일대(44만㎡) 등을 재정비해 도심 녹지비율을 4배 이상 끌어올리는 방안을 추진한다. 과거 재정비 사업이 좌초된 종로 세운지구 일대도 새롭게 탈바꿈시킬 계획이다. 서울시는 21일 이같은 내용 등이 담긴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내놨다.

건물 높이 올리고 면적 줄여 녹지 조성 

서울시 녹지공간 확보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서울시 녹지공간 확보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서울시에 따르면 녹지생태도심 전략은 건축물의 높이를 올리는 대신 면적(건폐율)을 줄여 녹지공간을 확보하는 게 핵심이다. 이를 위해 서울도심 기본계획상 90m로 제한된 건축물 높이를 재조정하고 도심 안팎의 용적률(600%~800% 이하)을 완화하는 방안 등을 적극 추진한다. 서울시는 이런 규제완화를 통해 사업자로부터 공원과 녹지부지를 ‘공공기여’ 방식으로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건물 앞 공간, 블록별 공원 연결해 '선형녹지'로 

지난 2018년 서울 연트럴파크(연남동 경의선숲길)에서 시민들이 돗자리를 깔고 맥주를 즐기고 있다. 박해리 기자.

지난 2018년 서울 연트럴파크(연남동 경의선숲길)에서 시민들이 돗자리를 깔고 맥주를 즐기고 있다. 박해리 기자.

녹지형태는 마포구의 ‘연트럴파크형’이 꼽힌다. 기존 공원과 개별건축물의 녹지나 공터 등을 쭉 이어 선형 공원을 만드는 식이다. 같은 면적의 공원이라도 정방형보다는 옆으로 긴 선형이 더 많은 지역과 닿을 수 있어서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현재 건물마다 제각각인 차량 진출입로도 한 곳으로 모아 녹지와 차도를 분리하기로 했다. 또 블록별로 최소 1개 이상의 공원을 조성해 이를 보행로 등으로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건축물 높이 규제, 용적률 등이 완화되며 생길 고밀·복합공간은 업무·상업·문화시설뿐만 아니라 주거공간으로도 공급한다.

吳 “피 토하고 싶다” 한 세운지구, 1호 재정비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후 녹지생태도심 재창조전략 현장 기자설명회를 진행하고 서울 중구 청계천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5구역 일대에서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1일 오후 녹지생태도심 재창조전략 현장 기자설명회를 진행하고 서울 중구 청계천로 세운재정비촉진지구 5구역 일대에서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는 이런 구상을 가장 먼저 적용할 지역으로 종묘~퇴계로 일대(44만㎡)를 꼽았다. 동·서로는 1~8가까지, 남·북으로는 율곡로에서 퇴계로까지를 신규 정비구역으로 지정해 14만㎡ 규모의 공원·녹지를 만든다는 방안이다. 연트럴파크(3만4200㎡)의 4배 수준이다.

이 중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해 “피를 토하고 싶은 심정”이라고 밝힌 세운지구도 포함돼 있다. 오 시장은 2009년 세운상가를 철거하고 주변 8개 구역을 통합 개발한다는 세운지구재정비촉진계획을 세웠지만, 고(故) 박원순 전 시장 재임 당시인 2014년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계획이 완전히 변경됐다.

오 시장은 이날 세운상가 지하 1층 세운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세운상가, 대림상가, 삼풍상가를 매입하는 것을 조건으로 용적률 인센티브를 줘 통합 재개발에 따른 녹지공간을 확보할 것”이라며 “세금은 거의 들지 않는 방식”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다만 블록을 통째로 매입해야 하고, 임차인·소유자들이 퇴거해야 허물 수 있다”며 “이 준비에 10년은 걸린다고 보기 때문에 10년 동안은 충분히 사용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원칙 뒤집지만 않는다면” 朴 비판한 吳

녹지공간 확보 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녹지공간 확보 전략.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녹지생태도심 전략이 현실화되면 박 전 시장 시절 1000억 원을 들여 만든 공중보행로는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오 시장은 “이 계획을 실현하려면 공중보행로가 ‘대못’이 될 수밖에 없고, 대못은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서울시는 종묘~퇴계로 일대에서 사업이 추진되지 않아 구역해제될 위기인 147개 구역 중 20개 내외를 정비구역으로 재조정할 계획이다. 최종적으론 북한산과 종묘, 남산, 한강을 잇는 녹지 축을 만들고 기존 3.7%(고궁 포함 8.5%) 수준인 도심 녹지를 15% 이상으로 넓힌다.

오 시장은 “센트럴 런던, 뉴욕 맨해튼 시내의 녹지비율이 15~26% 정도된다”며 “(서울도) 20년 정도 시간을 두고 꾸준히 (녹지생태도심 전략의) 원칙이 지켜진다면 푸른 나무숲과 빌딩 숲이 어우러진 녹지공간으로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