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강태영·강동현의 별별시각

해외논문 쓴 고교생 70%, 대입용 스펙이었다

중앙일보

입력

나는 고발한다. J’Accuse…!’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논문을 쓰는 고등학생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지난 20년 간 국내 213개 고등학교 소속으로 작성된 해외 논문을 전수 조사했습니다. 작성된 논문 수는 총 558건, 학생 저자 수는 980명이었습니다.

2.

만약 정말 실력있는 특출난 학생들만 논문을 작성한다면, 그 수가 많지 않아야 하고 이러한 극소수의 천재들은 대학 진학 이후에도 계속 학술 연구 활동을 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나 1,000명에 가까운 학생 저자 수는 저희 눈에는 꽤 많아 보이고, 또 이들 중 최소 약 70%가 고교 시절 논문 한 편만을 작성했을 뿐 대학 진학 이후 논문을 작성한 이력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3.

논문 작성이 대입을 위한 전략적 수단이 아닌 청소년 시기부터의 진지한 탐구 활동이라면, 입시 정책의 변화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합니다. 그러나 2014년도 학생생활기록부 논문 작성 이력 기재 금지 정책 발표 이후, 고등학생들이 작성하는 논문의 수가 급격히 감소했습니다.

4.

컴퓨터공학, 의학 등 표준적인 이공계 중등교육 과정과는 거리가 먼 분야에서 논문을 작성한 사례들도 다수 존재합니다. 또한 학교 단위에서의 ‘입시 지도’를 거쳐 특정 학교에서 반복적으로 공신력이 낮은 학회·학술지에 투고가 이루어진 정황 역시 관찰됩니다.

5.

본 프로젝트는 학교 유형, 학문 분과 등 집단(group) 수준의 분석에 집중하기에 개별 논문 하나 하나에 대하여 평가하지는 않습니다. 통계적 지표만으로 특정 논문의 작성 과정 자체가 적법했는지, 윤리적 문제는 없었는지 등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로 특출난 성과와 합법적·제도적 지원을 바탕으로 고교 시절 논문을 작성한 사례 역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인 비리 및 오용 사례는 데이터 분석만으로 가능한 것이 아닌 개별 사안 취재의 영역이라고 생각합니다.

6.

저희의 보고서가 단순히 “정시 100% 선발로 입시 정책을 선회해야 한다”, “논문과 관련된 청소년 행사들을 모두 폐지해야 한다”, “특정 정당 및 정치 세력(만)이 입시 부정을 저질렀다”와 같은 극단적인 주장의 논거보다는, 우리 사회에서 학술 장(academic field)이라는 분야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어떻게 대학 입시 글로벌화와 계층화된 중등교육이 결부되어 사회적 문제를 낳을 수 있는지에 대한 생산적 논의의 계기가 된다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