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행시 수석, KAIST 교수 22년…이창양, 尹정부 산업정책 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새 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에 지명된 이창양 한국과학기술원(KAIST) 경영대학(경영공학부) 교수는 산업 정책의 이론과 실무를 모두 겸비한 인물이다. 경남 고성 출신인 이 후보자는 창신중과 마산고를 거쳐 서울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하버드 케네디 행정대학원 정책학 석사를 거쳐 하버드 정책학 박사를 취득했다.

이 후보자는 1985년 행정고시 29회 수석으로 합격한 뒤 처음 공직에 입문했다. 상공부 사무관으로 시작해 현 산업부 전신인 통상산업부와 산업자원부에서 줄곧 근무하며 요직을 거쳤다. 특히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에는 비상경제대책위원회 전문위원으로 기업 구조조정을 담당했다. 1999년에는 현 산업부 전신인 산업자원부 산업정책과장을 역임하며 산업 정책 전반을 짰다. 산업정책과장은 산업부 내에서도 요직으로 꼽히는 자리다.

이 후보자는 공직 사회에서도 알아주는 엘리트 관료 코스를 밟았지만, 산업정책과장을 끝으로 2000년 돌연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교수로 자리를 옮겼다. 이후 줄곧 학계를 지켰다. 특히 기술 혁신 분야에서는 한국 최고 전문가로 꼽힌다. 학계로 자리를 옮긴 이후에도 SK하이닉스·LG디스플레이 사외이사 등을 맡아 산업계 조언을 아끼지 않았다. 이 후보자가 KAIST 경영대학에서 재직할 당시인 2008년~2011년에는 안철수 대통령직인수위원장도 KAIST 경영대학원 석좌교수로 같이 근무했다. 이 후보자가 인수위 경제2분과 간사로 임명되면서 인수위에서도 손발을 맞췄다.

기술 혁신 전문가인 이 후보자가 산업부 장관으로 최종 임명되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정책을 중점적으로 펼칠 것으로 보인다. 이 후보자는 정부가 기업에 세액 공제 같은 단순한 자금 지원을 넘어서, 장기적인 기술력 강화를 지원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반도체·2차전지 등 첨단 산업 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새 정부가 좀 더 과감한 산업 정책을 펼칠 거라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에너지 정책도 기존의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기업과 가계의 비용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출 가능성이 크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이 후보자 지명 이유에 대해 “한국 경제의 저성장 극복을 하기 위한 산업구조 고도화 밑그림을 그려낼 적임자라 판단한다”고 설명 했다. 이 후보자도 “규제 개혁 통해 기업 활력 넘치고, 기입인들과 긴밀한 소통 더해서 파트너로서 전략 짜가는 노력하겠다”면서 “기술 혁신, 기술 경쟁력도 최대한 지원하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산업부 내부에서도 이 후보자의 지명을 반기는 분위기다. 익명을 요구한 산업부 한 고위관계자는 “워낙 능력이 있는 분이고, 과거 공직을 거친 경험도 있는 만큼 부처 입장도 잘 이해하고 있어 기대가 크다”고 했다. 특히 외교부와 새 정부 통상 조직개편 놓고 힘겨루기를 하는 가운데 산업 정책 전문가인 이 후보자 역할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있다. 또 다른 산업부 고위 관계자는 “산업 정책과 통상이 분리될 수 없다는 점을 잘 아시는 분인 만큼, 향후 통상 조직 개편에 있어서 목소리를 내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과거 기고한 글이 최근 논란이 되고 있어 청문회 과정에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후보자는 2010년 한 언론에 기고한 ‘출산 기피 부담금’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출산을 기피하는 데 대한 부담금을 도입하는 것이 의미 있는 정책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내각 인선 발표 직후 이 후보자는 해당 글과 관련한 질문에서 “저출산에 대해 새로운 시각이 있을 수 있다는 소개이고, 마지막 부분에선 현실적으로 실현될 수 없다고 칼럼에서 설명했다”고 해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