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성 김, 北 핵실험 경고 "4월 15일 김일성 생일에 도발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박현영 특파원]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국무부 청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워싱턴=박현영 특파원]

북한이 오는 15일 '김일성 생일'을 맞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나 핵실험 등 추가로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국 정부가 밝혔다.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6일(현지시간) 전화로 기자회견을 열고 "우리는 오는 4월 15일 기념일과 관련해 북한이 또 다른 도발적인 행동을 취하려는 유혹을 느낄 것을 우려한다"면서 "확실히 그렇지 않기를 바라지만, 우리는 준비돼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4월 15일 기념일'은 김일성 전 주석의 생일로, 북한이 '태양절'로 부르며 명절로 기리는 날이다. 올해는 태양절 110주년으로, 한·미 당국은 이날을 계기로 북한이 무력시위 강도를 높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에는 핵 실험 가능성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김 대표는 "너무 추측하고 싶지는 않지만, 또 다른 미사일 발사가 될 수도 있고 핵실험이 될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이어 "중요한 것은 그들이 무엇을 하든 우리는 동맹 및 파트너와 협력하고 조율해 대처할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5월 임명된 이후 김 대표가 미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취재진과 문답을 한 것은 처음이다.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미국 정부의 판단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웬디 셔먼 국무부 부장관도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 도발에 대한 대응책 질문에 "앞으로 더 많은 시험 발사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셔먼 부장관은 "도발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것을 북한이 알 수 있도록 하는 강력한 조처, 북한의 공격에 대응해 (미국과 동맹이) 신뢰할 만한 억지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기자회견에서 대규모 한·미 연합 군사훈련 재개가 대북 대응책에 포함될 수 있다고 봤다. 김 대표는 "한·미 연합 군사훈련은 모두 알다시피 방어적인 것으로, 한반도에서 만일의 사태에 대처하는 데 필요한 복합적인 억지 능력을 갖추기 위해 실시된다"면서 "이런 훈련은 매우 중요하며 양국 군은 훈련을 계속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전날 워싱턴을 방문 중인 류샤오밍 중국 북핵수석대표와 만났다. 김 대표는 "류 대표와 길고 자세한 논의를 했다"면서 "유엔에서 새로운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대북 결의안을 채택하기 위한 작업을 포함해 많은 주제를 다뤘다"고 밝혔다.

류 대표를 만난 자리에서 북한의 4월 15일 도발을 만류해 달라고 중국 측에 요구했느냐는 질문에는 답변하지 않았다.

김 대표는 "북한은 올해 들어 13번 미사일을 발사했고, 그중 3번은 ICBM이었다"면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그로 인한 한반도의 불안정은 분명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미국과 중국은 한반도의 안정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공통의 관심을 가지고 있다"면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우리의 목표를 중국도 공유하고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미국이 추진 중인 안보리 대북 결의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와 논의했지만 아직 "생산적인 논의"는 없었다고 시인했다. 그런데도 안보리 결의를 추진하는 배경은 북한이 유엔 결의를 위반하고 북미 간 싱가포르 공동선언을 지키지 않는 데 대한 책임을 묻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싱가포르 공동선언이 여러 결점과 모호한 표현 등 한계를 갖고 있음에도 향후 북미 간 협상의 기초로 삼아야 하냐는 질문에 김 대표는 "문서가 너무 모호하고, 충분히 상세하지 않다는 비판이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친애하는 지도자 김정은이 직접 비핵화를 약속한 문서이기 때문에 유용한 기반을 형성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미국이 수차례 협상 복귀 메시지를 공개 또는 비공개로 보냈는데도 북한이 무대응으로 일관하는 이유에 대해 김 대표는 "북한이 어떤 행동을 하거나 하지 않는 배경을 추측하는 것은 항상 어렵다"면서 "북한이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지난 2년간 나라를 완전히 폐쇄한 것이 아마도 대응하지 않은 요인일 것으로 추측할 뿐"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