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구·구미 13년 낙동강 ‘물싸움’…정부 중재로 해결 물꼬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낙동강 통합물관리 괸계기관 협정 체결식'을 앞두고 4일 오후 환경부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대구취수원 구미이전반대추진위원회와 지역 주민들이 구미 해평 취수원 공동이용 협정체결을 반대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뉴스1

'낙동강 통합물관리 괸계기관 협정 체결식'을 앞두고 4일 오후 환경부 정부세종청사 앞에서 대구취수원 구미이전반대추진위원회와 지역 주민들이 구미 해평 취수원 공동이용 협정체결을 반대하는 집회를 벌이고 있다. 뉴스1

대구시와 경북 구미시가 취수원 이전 문제를 둘러싼 오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물꼬를 텄다. 정부가 마련한 중재안에 함께 서명을 하면서 13년을 이어온 ‘낙동강 물싸움’에 종지부를 찍을지 주목된다.

대구시와 구미시, 국무조정실, 환경부, 경북도, 한국수자원공사는 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 체결식을 진행했다. 이번 협정은 지난해 6월 24일 낙동강 상류 지역에 안전한 물 공급을 위해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의결한 데 따른 조치다.

협정서는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일평균 30만t을 추가 취수해 대구·경북 지역에 공급하고, 동시에 상수원 보호를 위한 구미시의 토지이용 제한 확대는 없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구미시에 매년 100억 원의 상생지원금을 지원하고, 구미 국가5산단의 입주업종 확대를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도 담겼다. 정부는 해평습지를 활용한 지역발전사업 협력, 하수처리장 개선・증설도 지원한다.

대구시는 협정 체결 직후 구미시에 일시금 100억 원을 지원하고 구미시에서 생산된 농축산물 판매를 돕기로 했다. 경북도는 해평습지 생태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사업에 협력하고, 향후 공공기관 이전 시 구미에 우선 유치될 수 있도록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대구시와 경북도 모두 KTX 구미역과 공항철도 동구미역 신설에도 협력·지원할 계획이다.

4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대구시와 경북 구미시, 국무조정실, 환경부, 경북도, 한국수자원공사가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구미시

4일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대구시와 경북 구미시, 국무조정실, 환경부, 경북도, 한국수자원공사가 '맑은 물 나눔과 상생발전에 관한 협정'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 구미시

대구 취수원 이전 갈등은 13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2009년 발암 의심물질인 1, 4-다이옥산이 구미국가산단에서 낙동강으로 유출됐다. 낙동강은 대구시민이 사용하는 수돗물의 67%인 53만t을 취수하는 곳이다. 대구 취수원은 구미산단으로부터 34㎞ 하류에 있다.

구미산단이 대구 취수원 상류에 있고, 폐수 유출도 일어났다는 사실에 불안해진 대구시는 2012년 구미 해평취수장을 새 취수원 이전 후보지로 꼽았다. 구미산단 상류 낙동강 물을 식수로 쓰겠다는 취지였다.

그러자 구미시가 반발했다. 대구에서 물을 빼가면 해평취수장의 수량이 줄고 수질도 나빠질 수 있다는 이유였다. 그러면서 대구가 취수원을 옮길 게 아니라 낙동강 수질 개선 사업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맞섰다.

해결의 실마리는 지난해 6월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이 의결되면서 풀리기 시작했다. 먹는 물 확보를 둘러싼 지자체 간 갈등이 줄어들지 않자 환경부가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만들고 2020년 말 낙동강유역물관리위에 심의를 요청한 결과다.

이를 통해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는 구미 해평취수장(30만t)과 추가고도정수처리(28만8000t)를 통해 대구에 57만t, 경북에 1만8000t의 물을 배분하기로 결정했다.

2017년 6월 21일 이낙연 당시 국무총리가 대구 달성군 매곡정수장을 찾아 권영진 대구시장 등과 함께 정수시설을 확인하고 있다. 뉴스1

2017년 6월 21일 이낙연 당시 국무총리가 대구 달성군 매곡정수장을 찾아 권영진 대구시장 등과 함께 정수시설을 확인하고 있다. 뉴스1

이날 협정에도 여전히 취수원 이전에 반대하는 기류는 있다.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반대추진위는 이날 행사장 앞에서 집회를 열고 “갈수기에 구미 지역 생활용수는 물론 구미국가산단 내 기업의 공업용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는데도 주민 의견을 무시하고 밀실·야합 협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구미경실련도 “협정서에 들어있는 대구시·경북도의 보상책은 구미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핵심 보상책이 아니다”고 반발했다.

정치권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나왔다. 구자근(구미갑)·김영식(구미을) 국회의원은 지난달 30일 공동 성명을 통해 “취수원 이전이라는 중차대한 문제가 지방선거를 앞두고 무리하게 추진되는 것에 유감을 표한다”며 “정작 취수원이 이전될 구미 시민들의 의견은 외면하고, 상생이라는 명분으로 정부 주도로 취수원 이전을 강행하려는 대구시와 구미시의 일방적 사업 추진을 묵과할 수 없다”고 했다.

이에 대해 김부겸 국무총리는 “중앙과 지방이 함께 마련한 대안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 지역주민들도 계시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더 활발하게 나서서 주민들과 소통하고 설명함으로써 이해와 동의를 구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