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첫 시험발사 성공…국방부, 이례적 공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로켓광장에 전시된 KSR 과학 관측 로켓 Ⅰ, Ⅱ, Ⅲ와 우주발사체 나로호 위로 펼쳐진 별들이 흔적을 남기고 있다. 뉴스1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우주과학관 로켓광장에 전시된 KSR 과학 관측 로켓 Ⅰ, Ⅱ, Ⅲ와 우주발사체 나로호 위로 펼쳐진 별들이 흔적을 남기고 있다. 뉴스1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의 첫 시험발사가 성공했다.

국방과학연구소(ADD)는 30일 국방과학연구소 종합시험장에서 서욱 국방부 장관 및 각 군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의 성능 검증을 위한 첫 번째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우주발사체 고체-액체 추진기관 비교.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우주발사체 고체-액체 추진기관 비교.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이번 발사 성공을 계기로 향후 자력으로 군 정찰용 소형 위성이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올릴 수 있는 발사체 개발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이번 시험발사는 작년 5월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와 7월 고체 연료 추진기관에 대한 연소시험이 성공한 데 이후 8개월 만의 성과다.

고체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추진기관은 액체연료 추진기관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여서 대량 생산도 쉽다. 또 액체 연료와 달리 사전에 주입할 수 있어 신속한 발사가 가능하다.

이날 시험발사에서는 우주발사체의 필수 기술인 대형 고체 추진기관, 페어링 분리, 단 분리, 상단부(Upper stage) 자세제어 기술 검증이 이뤄졌다.

국방부는 향후 추가 검증을 거쳐 실제 위성을 탑재해 발사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개발이 완료되면 소형위성 또는 다수의 초소형 위성을 지구 저궤도에 투입하게 된다.

또한 국방부는 현재 과기정통부에서 민간기업이 개발 중인 소형발사체 발사 등을 지원하기 위해 나로우주센터 내 신규발사장 및 발사대, 발사추적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국방부와 과기정통부는 "우주발사체의 탑재 중량을 보다 단기간에 증가시키고 발사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고체 및 액체 추진기관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우주발사체 기술을 개발해야 한다는 데 공감한다"면서 "ADD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간 협력도 가속한다"는 방침이다.

국방부는 "항우연이 이와 함께 액체 우주발사체인 누리호 개발을 통해 확보된 기술을 바탕으로 향후 탑재 중량 증대와 발사체 기술의 확장이 가능한 차세대 액체 중형 발사체 개발도 계획 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국방부가 이날 시험발사 성공 사실을 사전 예고 없이 공개해 눈길을 끈다.

북한이 최근 '정찰위성 개발'을 공언하고 우주발사체와 거의 동일한 기술이 적용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쏘아 올린 것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해석이 제기된다.

실제로 국방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최근 북한이 모라토리엄을 스스로 파기하는 ICBM을 발사하는 등 매우 엄중한 시기에 이번 고체 추진 우주발사체의 시험발사 성공은 우리 군의 독자적 우주기반 감시정찰 분야의 국방력 강화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라면서 "앞으로도 국방 우주전력을 조기에 확충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