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韓, OECD 중 디지털 접근성 최고…기술 활용 역량은 하위권"

중앙일보

입력

[사진 pixabay]

[사진 pixabay]

한국이 경제협력기구(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을 갖추고 있음에도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활용 역량은 하위권인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은 해외 주요 기관의 디지털 경쟁력 비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국은 국제경영개발연구원(IMD)이 발표한 디지털 경쟁력 순위에서 64개국 가운데 12위를,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발표한 포용적 인터넷 지수에서는 120개국 중 11위를 차지했다.

포용적 인터넷 지수는 한 국가에서 인터넷의 접근 가능성과 수용성, 사회경제적 관련성의 정도를 포괄적으로 측정한 지수를 말한다.

이처럼 높은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에도 기업의 디지털 활용 역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영국 및 유로존 19개국과 한국을 비교 분석한 결과 디지털 경제의 활용 역량을 보여주는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과 고객관계관리(CRM) 소프트웨어 사용 비중, 이커머스 매출 비중 등에서 한국 기업은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249인 이하 중소기업의 경우 250인 이상 대기업보다 디지털 역량 지표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기업 비중. [사진 한경연]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기업 비중. [사진 한경연]

한국 대기업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은 46.5%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고, 중소기업은 이보다 낮은 24.5%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19위에 그쳤다.

디지털 경제 시대에 고객 관계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CRM 사용 비중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각각 51.2%와 17.3%로 모두 20개국 중 19위로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이커머스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 비중도 대기업은 38.2%로 17위, 중소기업은 20.1%로 11위를 차지했다. 다만 빅데이터를 사용하는 기업의 비중에서는 대기업이 47.7%로 6위를 기록했다. 중소기업은 12.2%로 10위를 차지하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OECD 세대 간 디지털 숙련도 격차. [사진 한경연]

OECD 세대 간 디지털 숙련도 격차. [사진 한경연]

한경연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대기업에 비해 뒤처지는 이유로 고령화와 디지털 양극화를 꼽았다. 중소기업 종사자 가운데 60세 이상의 비중이 대기업보다 크고 그 격차도 더욱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 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 연령대 기준 디지털 양극화가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16∼24세 중 디지털 고숙련군의 비중은 63.4%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지만, 55∼65세는 3.9%에 그쳐 OECD 국가 중 디지털 숙련도 격차가 가장 컸다.

조경엽 한경연 경제연구실장은 "디지털 관련 교육과 훈련을 강화해 디지털 기술을 가진 인재를 유치해야 한다"며 "세대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령층에 대한 디지털 적응도를 집중적으로 높여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 어때요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