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북 "화성-17형 쐈다"는데 군 "화성-15형으로 본다" 논란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24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 ‘화성-17형’(사거리 1만5000㎞)을 쐈다며 영상까지 공개한 가운데 군 당국이 화성-15형(사거리 1만3000㎞) 발사로 사실상 결론낸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일고 있다.

북한이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지난 16일 세 차례에 걸쳐 시험 발사했던 미사일과 이번에 평양 순안공항에서 쏜 미사일이 다르다는 게 군 당국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27일 군 관계자는 “북한이 화성-17형이라고 공개보도(25일)한 것에 대해 한ㆍ미 당국이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정밀 분석하고 있다”며 “현재로선 화성-15형 발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2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의 시험발사를 단행했다고 이튿날 빍혔다. 연합뉴스

북한은 지난 2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의 시험발사를 단행했다고 이튿날 빍혔다. 연합뉴스

미국의 정찰위성 등으로 수집한 정보로는 이번에 탐지한 미사일의 엔진 노즐 수가 화성-17형(4개)이 아닌 화성-15형(2개)과 같고, 1단 엔진의 연소 시간도 화성-15형에 가깝다는 판단이다. 군 당국은 북한이 25일 공개한 영상의 경우 이전에 세 차례 화성-17형을 발사하면서 촬영해둔 영상을 편집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단 정보기관의 판단은 군 당국과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국가정보원은 북한의 발표 이전부터 화성-17형으로 추정했으며 현재까지 이런 분석을 유지하고 있다.

"비행특성 '화성-17형' 가까워"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선 “군 당국 발표를 액면 그대로 믿기 힘들다”는 말이 나온다. 특히 화성-17형 가능성을 높게 보는 전문가들은 미사일의 비행 특성을 근거로 제시한다.

구체적인 정보가 제한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25일 공개한 미사일의 제원(최고 고도 6248㎞, 비행거리 1090㎞, 비행시간 67분)과 발사 당일 합동참모본부가 한ㆍ미 정보자산에 탐지됐다며 밝힌 제원(최고 고도 6200㎞, 비행거리 1080㎞)에 큰 차이가 없다는 점에서다.

지난 25일 북한 관영 매체들은 전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발사 명령을 하달하고 현장에 참관해 발사 전과정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지난 25일 북한 관영 매체들은 전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발사 명령을 하달하고 현장에 참관해 발사 전과정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반 밴 디펜 전 미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수석부차관보도 미국의소리(VOA)와 인터뷰(26일 보도)에서 “한국과 일본이 발표한 정보에 따르면 궤적이 화성-15형보다는 화성-17형과 더 일치한다”며 “화성-17형이라고 보는 게 맞을 확률이 높은 추측”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외교안보센터 부연구위원은 “북한의 과거 행적 등을 볼 때 국가지도자가 등장할 정도의 성공 영상을 대내외에 과시하는 것은 눈여겨봐야 하는 대목”이라며 “화성-17형이 아니라면 군 당국이 추가적인 분석 자료를 공개해야 사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영상 조작”에 “단정 어려워” 

북한이 공개한 영상의 진위를 놓고도 평가가 엇갈린다. 일각에선 “발사 당시 평양의 기상 조건과 맞지 않는다”는 분석이 있는 반면, “영상 촬영 방식이나 후보정 등을 고려하면 조작 증거만으로 볼 수 없다”는 반론도 나온다.

권용수 전 국방대 교수는 “(북한이 지난 25일 화성-17형이라며 공개한 영상이) 만약 지난 16일 시험 발사해 20㎞ 고도 아래에서 폭발한 미사일을 촬영한 영상이라면 발사 순간부터 불안정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화염이나 비행 모습을 볼 때 실패한 미사일로 보긴 어렵다”고 말했다.

북한이 지난 25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의 비행 모습이라며 공개한 사진.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5일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의 비행 모습이라며 공개한 사진. 연합뉴스

다만 화성-15형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이론적으로는 탄두 등 페이로드(payload) 무게가 0㎏에 가깝게 비어있다면 기존 화성-15형으로도 유사한 비행을 할 수 있다”며 “(추력을 올리기 위해) 화성-15형의 2단 추진체 성능을 개량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미사일 내부를 들여다보지 않는 이상 확인할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군 안팎에선 미사일 종류가 아니라 올해 들어 진전된 북한의 미사일 기술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경고가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군 관계자는 “더욱 다양하고 성능이 고도화된 북한의 미사일 공격 능력에 대응해 한국형 미사일 방어체계(KAMD)를 원점에서 재고해야 할 상황”이라며 “군이 북한 위협을 평가할 게 아니라 실질적으로 국민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능력을 보여줘야 한다”고 짚었다.

TEL로 세운 뒤 곧장 발사

북한이 이번에 공개한 영상에선 이동식 발사대(TEL)의 기술적 진전도 확인됐다. 과거 북한은 화성-14형, 화성-15형 등 ICBM급 미사일을 쏠 당시엔 TEL에서 직접 쏘지 않고 따로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발사대를 미리 만들어서 쐈다.

TEL은 미사일 운반 수단으로만 쓴 뒤, 섭씨 3000도에 달하는 화염 등 발사 과정에서의 피해를 막기 위해 다른 곳으로 이동시켰다.

북한이 지난 25일 공개한 영상에서 '화성-17형' 미사일을 이동식 발사차량(TEL)에서 세운 뒤 곧바로 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25일 공개한 영상에서 '화성-17형' 미사일을 이동식 발사차량(TEL)에서 세운 뒤 곧바로 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연합뉴스

하지만 이번엔 TEL에서 세운 뒤 곧장 발사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장영근 교수는 “화염이 TEL로 향하지 않고 옆으로 빠지도록 화염 유도장치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의 TEL 기술이 그만큼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달리 워낙 크기 때문에 이동거리가 매우 제한적”이라며 “실제 전력화해 배치하더라도 TEL의 군사적 효용성에 큰 의미를 부여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