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 “대통령실에 민관합동위 설치, 외부 전문가 모실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용산 집무실로 들어가면 한남동에 있는 육군참모총장 관저를 사용할 예정이다. 20일 서울 한남동 공관 입구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용산 집무실로 들어가면 한남동에 있는 육군참모총장 관저를 사용할 예정이다. 20일 서울 한남동 공관 입구 모습.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20일 대통령실에 ‘민관합동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재확인했다.

윤 당선인은 그간 옥상옥 비판을 받아온 청와대 수석비서관의 명칭을 바꾸고, 참모들도 대폭 줄여 ‘제왕적 대통령’의 폐단을 극복하겠다고 수차례 밝혀왔다. 그 대신 정부 각 부처와 대통령실의 가교 역할을 할 민관합동위원회를 설치하겠다고 했는데, 이날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 방침을 밝히면서 이를 다시 언급한 것이다. 윤 당선인의 의지가 재확인됨에 따라 그간 청와대를 정점으로 한 수직적 의사결정 구조였던 국정운영 방식이 확 바뀔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관련기사

윤 당선인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서울 종로구의 청와대를 국민에게 개방하고 용산구의 국방부 청사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한다고 발표하며 “제왕적 권력의 상징인 청와대를 국민께 돌려드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인은 청와대 기능 축소에 따른 유휴 공간 활용 계획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민관합동위원회 사무국 회의실을 많이 만들어서 국가적 어젠다 설정과 관련해 도움 주실 외부 전문가들을 모시려고 한다”고 답했다.

또 “외부 전문가들, 경륜 있고 국가적 어젠다 설정과 (관련해) 도움 주실 분들 많은데 인사청문회 등 제한 따르지 않느냐. 정부와 회의하고 의사결정하는 데 도움받고자 생각을 하고 있다”고 했다. 대통령비서실의 권한을 확 줄이는 대신 사안별로 학자·전문가·관료·정치인으로 구성된 민·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형 어젠다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설명이다.

윤 당선인의 이런 인식은 대선후보 시절이던 지난 1월 발표한 정치 개혁 공약에 그대로 담겨있다. 윤 당선인은 당시 정치 개혁 방안을 발표하며 “비서실장 등 정예 참모와 분야별 민관합동위원회가 함께하는 방식으로 대통령실을 구성하겠다”며 “청와대 참모들은 민관합동위를 지원하고 연결하는 역할을 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각 분야 ‘수석’으로 대표되는 청와대 참모들은 그간 제왕적 대통령제의 문제점이 지적될 때마다 도마 위에 올랐다. 문재인 정부 기준으로 청와대는 정무·국민소통·민정·시민사회·인사·일자리·경제·사회 등 8명의 수석비서관을 두고 있다. 국가안보실도 실장 외에 수석급인 1·2차장이 편제돼 있다.

청와대 수석비서관은 차관급이지만, 국무위원인 해당 부처 장관보다 더 큰 권한을 행사하는 경우가 잦았다. 헌법 기구인 국무회의보다 대통령 참모 회의인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가 더 주목을 받기도 했다.

윤 당선인이 민관합동위원회 설치 방침을 재확인하면서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제도 자연스럽게 구현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윤 당선인은 지난 1월 한국행정학회와 한국정책학회가 주관한 정책토론회에서 “청와대를 범부처 이슈에 집중하는 슬림한 조직으로 바꾸는 대신 각 부처 장관에게 전권을 주고 결과에 책임지도록 하는 ‘분권형 책임장관제’를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책임총리와 책임장관은 역대 정부의 단골 약속이었지만 공염불에 그쳤다.

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국방부로 대통령 집무실을 이전하는 게 성급한 게 아니냐며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당선인이 ‘청와대로 가는 순간 제왕적 대통령에서 못 벗어날 것 같다’고 말했다”며 “청와대를 정점으로 한 의사결정 구조가 확 바뀔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