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유엔 인권 특별보고관 공개서한 발송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3/17/c39cdbcd-c7b1-4369-b804-bb524116726f.jpg)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유엔 인권 특별보고관 공개서한 발송 발표 기자회견을 열었다. [연합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17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향해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사법재판소(ICJ) 및 고문방지위원회(CAT) 회부에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윤 당선인은) 지난해 9월 내 손을 잡고 본인이 당선되지 않더라도 위안부 문제를 꼭 해결한다고 약속했다”면서다.
이 할머니는 이날 위안부문제ICJ회부추진위원회 대표 자격으로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17일) 유엔 실무그룹과 인권 특별 보고관에게 위안부 문제를 ICJ나 CAT에 회부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하는 호소문을 보냈다”고 말했다.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논의가 수년째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유엔 차원의 문제 해결을 요청한 것이다.
이 할머니는 청원서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입은 피해는 고문방지협약에서 말하는 ‘고문’에 해당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일본을 상대로 고문방지협약에 따른 유엔 고문방지위원회의 국가 간 조정 절차와 국제사법재판소 회부 절차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며 유엔 차원에서 한국 정부가 즉각적인 대응에 나서도록 촉구해달라고 요청했다.
ICJ회부추진위는 이런 내용의 청원서를 유엔 표현의 자유 특별보고관, 여성 폭력 특별보고관 등 6명의 특별보고관과 유엔 여성차별문제 실무그룹 등에 보냈다. 청원서에는 이 할머니를 포함해 강일출·박옥선·이옥선 할머니 등 6명의 국내 위안부 피해 생존자가 참여했다. 국내 위안부 생존자 12명 중 의사 표시가 가능한 대부분의 할머니들이 뜻을 모은 셈이다.
또 중국의 위안부 피해자인 펑주잉(彭竹英) 할머니와 필리핀·인도네시아의 위안부 지원단체들도 동참했다.
계속된 요청에 침묵만 지키는 정부
![이용수 할머니는 17일 유엔 인권 특별보고관 발송 발표 기자회견에서 국내 위안부 피해 생존자 할머니들의 서명을 받은 서류를 공개하며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3/17/20e7e2c7-de5b-4d8d-9f44-d65c5bfa5155.jpg)
이용수 할머니는 17일 유엔 인권 특별보고관 발송 발표 기자회견에서 국내 위안부 피해 생존자 할머니들의 서명을 받은 서류를 공개하며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이 할머니는 지난해 10월부터 위안부 문제의 CAT 회부를 요청해 왔다. 당초 이 할머니는 정부를 향해 위안부 문제를 ICJ에 제소해 줄 것을 요청했으나 약 8개월간 아무 응답이 없자 차선책으로 CAT를 통한 문제 해결을 제안한 것이다. 이 할머니가 제안한 CAT 회부는 ICJ 회부와 달리 일본 측의 동의가 없어도 한국 정부 단독으로도 가능하다.
당시 이 할머니는 기자회견을 통해 “위안부 역사 왜곡을 막기 위해 ICJ에 위안부 문제를 회부해달라고 대통령님께도 요청했으나 청와대, 외교부, 여성가족부, 인권위원회, 국회는 아무런 대답이 없다”며 “문재인 대통령님, 제 손을 잡고 유엔 고문방지위원회에 꼭 갑시다. 눈물로 호소한다”고 말했다.
이 할머니는 이날 청원서 발송 기자회견에선 문 대통령을 향해 “더 이상 얘기도 하고 싶지 않지만, 임기 마치기 전에 큰 결심을 한다면 역사에 올바르게 기억될 것”이라며 “나중에 회고록에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니 어쩌니 그런 소리 마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위안부 해결' 손가락 걸고 약속한 尹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9월 이용수 할머니를 만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3/17/ab046b63-6bf8-4c28-a49f-4a2ed46fca52.jpg)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9월 이용수 할머니를 만나 위안부 문제 해결을 약속했다. [연합뉴스]
향후 2개월 내에 정부가 위안부 문제의 ICJ·CAT 회부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않는다면 공은 차기 정부로 넘어가게 된다. 윤석열 당선인은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시절인 지난해 9월 대구 일본군위안부기념관에서 이 할머니를 만나 “일본의 사과를 반드시 이끌어내고, 할머니들이 마음의 상처를 받았던 것들을 다 (해결)해드리겠다”고 말했다.
윤 당선인의 발언은 이 할머니가 “(나는)국제사법재판소를 가서 완전한 판단을 받아야 하고, '위안부' 문제를 해결해줄 사람을 찍겠다. 공약할 수 있느냐”고 물은 데 대한 답변이었다. 사실상 위안부 문제의 해결에 나서겠다는 구두 약속을 한 셈이다. 다만 윤 당선인 측은 지난 2월 ICJ회부추진위가 캠프 측에 송부한 ‘CAT 절차를 통한 위안부 문제 해결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의서에는 답변하지 않았다.